미국 지수
S&P500, 나스닥, 다우 존스, 러셀2000
전일 미국 증시는 트럼프 대통령의 강경한 관세 정책에 대한 우려로 3대 지수와 러셀2000 모두 하락 마감
장 초반 증시는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산 일부 제품에 3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하고, 유럽연합(EU)에도 관세 부과 서한 발송을 예고하자 하락 출발
이는 미국의 주요 교역국을 직접 겨냥한 조치로 시장 참여자들의 우려를 자극했으나, 투자자들은 이번 발표를 협상용 압박 수단으로 해석하며 공포 심리가 크게 확대되지는 않음
장중에는 대형 기술주 중심으로 수급이 집중되며 일부 낙폭이 제한되는 모습이 나타남
특히 엔비디아는 사상 최고가를 다시 경신했고, 테슬라도 인도에 공식 진출하며 상승
미 국방장관의 드론 생산 확대 지시로 드론 관련주들이 급등, 크래프트하인즈는 회사 분할설로 상승하는 등 섹터별 차별화가 나타남
한편, 다음 주 미국 2분기 실적 시즌이 시작되는 가운데, 관세 부담이 기업 마진에 얼마나 영향을 미쳤는지를 가늠할 수 있는 핵심 변수로 주목됨
블룸버그 인텔린전스가 집계한 데이터에 따르면 S&P500 기업의 이익 증가율은 전년 대비 2.8%로 2023년 이후 가장 낮은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며, 지난 분기 14% 증가엣 크게 둔화할 것으로 보임
이는 S&P500 12개월 선행 PER 22.3배라는 고평가된 밸류에이션을 정당화하기 어려운 수준이라는 우려로 이어짐
장 마감 무렵, 관세 이슈에 따른 경기 둔화 및 실적 부진 우려가 다시 부각되며 지수 낙폭을 소폭 확대하며 거래를 마침
전문가들은 이번 실적 시즌이 증시 방향성을 결정지을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이라며, 단기적으로는 관세 등 정책 불확실성에 따른 변동 확대 가능성을 경고
트럼프 "캐나다 관세 35%…나머지는 15% 또는 20%"(종합)
EU 대미 보복관세 14일 발효…트럼프 서한 ‘관심’
백악관 예산국장 "파월, 베르사유 궁전 짓나"…인테리어에 혈세 낭비 맹공
트럼프, 파월 의장 해임 여부에 "아니오"
美 6월 재정수지, 37조원 흑자…관세 수입 급증 영향
美시카고 연은총재 "최근 관세위협, 금리인하 지연시킬 수 있어"
테슬라, 인도 공식 진출…15일 뭄바이에 첫 쇼룸 연다
[국제유가] 급락 하루 만에 급등…트럼프, 러시아 제재 시사
[종합] 뉴욕증시, 트럼프 관세 위협에 후퇴…다우 0.63%↓
비트코인, 11.8만돌파…美 ‘크립토위크’ 기대감에 랠리 가속
테슬라(TSLA) 전일 로보택시에 AI챗봇 '그록'을 탑재한다는 기대감이 지속되는 가운데, 세계 3위 자동차 시장인 인도 뭄바이에 첫 번째 쇼룸을 열며 인도 시장에 공식 진출했다는 소식에 상승
엔비디아(NVDA) 젠슨 황 CEO가 최근 3640만 달러, 총 22만 5,000주를 매각했다는 소식이 있었으나, 전일 젠슨 황 CEO가 중국 방문을 앞두고 트럼프 대통령과 만났다는 점이 부각되며 상승 지속
알파벳(GOOG)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가 미국 빅테크 기업들에 대한 디지털세 과세 계획을 철회했다는 소식에 상승
아마존(AMZN) 모건스탠리에서 아마존의 클라우드 서비스인 AWS가 앤트로픽과 파트너십을 통해 25년 12억 8,000만 달러, 26년에 30억 달러, 27년 56억 달러의 추가 매출을 올릴 것이라고 전망하자 상승
페이팔(PYPL) JP모건이 핀테크 기업들에 고객 데이터 접근에 대한 사용료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히자 하락
포드(F) 인베스터스 비즈니스 데일리가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 데이터를 인용하여 포드가 올해들어 89건의 리콜을 기록해 자동차 제조업체로서 연간 기준 역대 최다 리콜을 기록했다고 보도하자 하락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에 35% 관세를 부과하는 등 관세 정책을 강경하게 이어가자 전반적으로 하락 또는 약보합
헬스케어, 금융 섹터가 하락을 주도, 기술, 경기 방어주, 산업재,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유틸리티, 부동산, 원자재는 약보합, 소비 순환재는 강보합 마감
에너지 섹터는 트럼프의 러시아 제재 시사로 국제 유가가 상승하면서 상승
미국 국채 금리는 특별히 영향력 있는 경제 지표 발표가 없는 가운데, 다음 주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를 앞두고 트럼프 대통령의 강경 관세 정책으로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수 있다는 우려가 반영되며 전반적으로 상승
달러 지수는 상승하며 달러 강세
엔화, 원화 약세
공포 탐욕 지수는 큰 변동 없이 극도의 탐욕(Extreme Greed) 단계 유지
시장 변동성을 나타내는 VIX 지수는 상승하면서 변동성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