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0 한국은행(한은)이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회의가 열렸다.

이날 금통위는 통화정책방향 문세에서 시장의 예상대로 금리를 동결한다고 발표했다.

한은이 금리 인하를 동결한 배경은 무엇인지 살펴보자.

통화정책방향 주요 내용

금리 동결 결정




7월 한국은행 통화정책방향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기준금리를 현재의 2.50% 수준에서 유지

  • 물가가 안정된 흐름을 보이는 가운데 당분간 낮은 성장세를 이어갈 것

  • 무역 협상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큰 상황

  • 수도권 주택가격 오름세 및 가계부채 증가세가 크게 확대

  • 최근 강화된 가계부채 대책 영향 살펴 볼 필요 있음

  • 세계경제는 높은 관세율의 영향이 본격화됨녀서 성장세가 점차 둔화되고 물가경로는 국가별로 차별화될 전망

  • 세계경제와 국제금융시장은 미국과 주요국 간 관세협상 결과, 주요국 통화정책 변화 등에 영향받을 것

  • 국내경제는 성장 부진이 다소 완화

  • 앞으로 소비가 경제 심리 개선, 추경 등으로 점차 회복될 것

  • 수출은 미 관세부과 등으로 둔화될 것으로 예상

  • 6월 중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2%로 높아졌으나 근원 물가 상승률은 전월과 같은 2.0% 수준

  • 앞으로 물가 상승률은 낮은 수요압력, 국제유가 안정세 등으로 2% 내외의 오름세를 지속할 것

  • 소비자물가 및 근원물가 상승률은 지난 5월 전망(각각 1.9%)에 대체로 부합할 것으로 전망

  • 원/달러 환율은 무역협상의 전개양상, 지정학적 리스크 등에 영향받아 1,300 원대 중후반에서 상당폭 등락하였으며 앞으로도 높은 변성을 이어갈 것

  • 주택시장은 서울 등 수도권이 과열양상을 나타내다가 정부의 가계부채 대책 시행 이후 다소 진정, 지방은 부진 지속

  • 가계대출은 그간 확대된 주택거래의 영향으로 높은 증가세를 이어감

  • 당분간 낮은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무역협상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큰 상황

  • 수도권 주택시장 및 가계부채 리스크가 증대된 만큼 거시건전성정책 효과를 점검

  • 외환시장 변동성 확대 가능성에도 계속 유의할 필요 있음

  • 향후 통화정책은 성장의 하방리스크 완화를 위한 금리 인하 기조를 이어나가되, 이 과정에서 대내외 정책 여건의 변화와 이에 따른 물가 흐름 및 금융안정 상황 등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기준금리의 추가 인하 시기 및 속도 등을 결정해 나갈 것


7월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2.50%로 동결하며 당분간 신중한 완화 기조를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물가가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가고 있고, 소비 회복과 경기 부진 완화 기대도 일부 반영됐지만, 수출 둔화와 대외 불확실성 등 경기 하방 리스크는 여전히 존재한다.

특히 수도권 주택가격 상승과 가계부채 증가세가 두드러지는 가운데, 한국은행이 거시건전성정책의 효과 점검을 강조한 것은 금리 인하에 따른 부동산 시장 과열 및 금융불균형 심화를 경계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결국 향후 통화정책은 경기 부양과 금융안정 사이에서 균형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전개될 것이며, 대내외 여건 변화에 따라 기준금리의 추가 조정 여부를 신중히 결정해 나갈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