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지수

S&P500, 나스닥, 다우 존스, 러셀2000




전일 미국 증시는 고용 지표 부진에도 불구하고 미·베트남 무역 협상 타결과 세제 개편 기대감에 힘입어 S&P500과 나스닥, 러셀2000은 상승했으나 다우 지수는 헬스케어 업종 부진으로 약보합 마감하며 혼조세

개장 전 발표한 6월 ADP 민간 고용은 3.3만 명 감소하며 시장 예상(+9.8만)을 크게 하회하자 경기 둔화 우려가 부각

이는 2023년 3월 이후 처음으로 민간 고용이 감소한 수치로 고용 시장 둔화 조짐에 대한 경계감에 국채 금리가 일시적으로 감소했으나 다음 날 발표되는 고용보고서 결과를 기다리면서 영향은 제한적

장 초반 증시는 고용 지표 부진으로 보합권에서 등락을 보였으나,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과 베트남의 무역협상 타결 소식을 발표하면서 분위기가 상승세로 반전됨

협상 결과 베트남산 제품에 대한 미국의 관세가 기존 46%에서 20%로 인하되고, 미국산 제품에 대해 베트남이 관세를 전면 철폐

중국 등 제3국이 베트남을 수출 우회 기지로 삼으려 할 경우 이들 제품에는 40% 관세 부과

베트남이 상호관세 부과 대상 국가 중 첫 협상을 타결함에 따라 공급망 우려가 완화되면서 베트남에 생산기지를 둔 애플, 나이키, 온홀딩 등 관련 종목이 상승세를 주도

한편, 폴켄더 미 재무부 부장관은 다음 주 미국과 여러 무역 상대국 간의 무역 합의들이 발표될 것이라며 무역 협상 기대감을 높임

장중에는 트럼프 세제 개편안 관련 논의가 긍정적으로 해석되면서 기술주 중심으로 위험선호 심리가 강화됨

특히 상원에서 통과된 법안에 반도체 세액공제 확대(25% → 35%)가 포함되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엔비디아, 오라클 등 반도체와 AI 관련주가 급등

테슬라는 2분기 인도량이 전년 대비 감소했음에도 시장 예상치를 거의 충족하고, 생산량이 예상치를 상회하자 급등

장 마감 전에는 고용보고서 발표를 기다리면서 고용 둔화가 뚜렷해질 경우 연준의 조기 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는 기대가 주식시장에 상승세로 작용

S&P500은 또 다시 신고가 경신, 다우 지수는 유나이티드헬스 등 헬스케어 섹터 부진에 약보합 마감

주요 뉴스 헤드라인




트럼프 감세법안, 반도체 세액공제 25%→35% 상향 유지

영국 재무장관 거취 혼란 속 '눈물'까지…국채금리 급등

美, 6월 민간 고용 3만3000명↓…2년 만에 첫 감소

트럼프 “베트남과 무역합의”…中 우회수출에는 40% 관세

미 재무부 부장관 “다음 주 추가 무역합의·관세율 발표 예상”

테슬라, 2분기 출하 급감에도 주가는 급등…"수요 감소세, 바닥 찍었다"

MS, 전세계 인력 4% 해당 9000명 감원…두달만에 또 감축

이란 IAEA 핵사찰 사실상 거부, 국제유가 3% 급등

뉴욕증시, 미-베트남 무역합의에 상승…S&P 500 최고가 경신(종합)

미국-베트남 무역 합의에 나이키 주가 4% 급등

S&P500 맵




테슬라(TSLA) 2분기 차량 인도량이 38만 4,122대로 전년 대비 13.5% 급감했으나, 1분기 33만 7,000대보다 증가하면서 테슬라 수요가 바닥을 찍고 반등한다는 기대감, 최근 트럼프 대통령과 일론 머스크 CEO의 불화로 주가가 하락한 것에 대한 되돌림으로 급등

애플(AAPL) 미국과 베트남 무역 협상이 타결되면서 대부분의 아이패드/애플워치 제품을 베트남에서 생산하고 있는 애플에도 호재로 작용하자 상승

나이키(NKE), 온홀딩(ONON) 등 베트남에 생산 기지를 둔 소매 기업들은 미국과 베트남 무역 협상 타결 소식에 상승

유나이티드헬스(UNH), 엘리밴스헬스(ELV), CVS헬스(CVS) 등 건강 보험 기업들은 동종기업 센텐(CNC)이 부진한 실적을 발표하고 연간 전망치를 철회하자 동반 하락

오라클(ORCL) 챗GPT 개발사 오픈AI가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의 연장선으로 오라클의 데이터센터 4.5GW 용량을 추가로 임차하는 데 합의했으며 계약 규모가 약 300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지자 상승

엔비디아(NVDA) ,브로드컴(AVGO), AMD(AMD) 등 반도체 기업들은 트럼프 감세안에서 반도체 산업에 대한 세액 공제가 기존 25%에서 35%로 상향된 내용이 포함되자 상승

섹터 실적




고용 지표 부진에도 금리 인하 기대감과 미·베트남 무역 협상 타결 소식에 전반적으로 상승

원자재, 에너지, 기술, 소비 순환재 순으로 강세

유틸리티, 헬스케어 섹터는 약세

산업재, 부동산, 금융, 경기 방어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는 강보합 마감

미국 국채 시장




미국 국채 금리는 영국 노동당 정부가 추진해온 지출 축소 등 복지 개편안이 진통을 겪으면서 영국 국채 금리가 급등하자 미국 국채 금리도 동조하며 상승 출발

장중 ADP 민간 고용이 2년 만에 감소세로 돌아서면서 미국채 금리도 일시적으로 하락했으나 영향은 제한적, 이후 고용보고서 발표를 대기하며 금리 인하 기대감으로 상승 폭 일부 반납

미국 6월 ADP 비농업 고용은 -3만 3천명으로 예상치 대폭 하회, 이전 대비 감소

환율




달러 지수는 상승하며 달러 강세

원화, 엔화 약세

시장 위험 지표




공포 탐욕 지수는 소폭 하락했으며 탐욕(Greed) 단계 유지

시장 변동성을 나타내는 VIX 지수는 하락하면서 변동성 완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