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경제 인플루언서 존브레드입니다.
비트코인을 바라보는 투자자들의 마음은 요즘 꽤나 답답합니다.
상승도 아니고 하락도 아닌, 마치 ‘갇혀 있는’ 듯한 모습.
최근 비트코인은 **박스권(횡보 구간)**에서 좀처럼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박스권은 언제쯤 끝나고, 다시 상승 랠리가 시작될 수 있을까요?
비트코인 흐름과 향후 가능성을 하나씩 정리해 봅니다.
1. 현재 비트코인 박스권 상황 요약
2024년 말부터 2025년 6월 현재까지,
비트코인은 대략 60,000달러 중후반 ~ 70,000달러 초반 사이를 오가고 있습니다.
구간 | 의미 |
---|---|
60K~63K | 지지선 (매수세 유입) |
70K~73K | 저항선 (매도세 집중) |
이런 구간이 지속되면 투자자들은 점점 관망세로 돌아서고, 시장은 거래량이 줄며 정체 상태로 빠지게 됩니다. 하지만 이런 에너지 응축 구간이 끝난 후에는 급등 혹은 급락이라는 강한 변동성이 따라오기 마련입니다.
2. 비트코인 상승을 가로막는 요인
최근 상승 흐름이 막힌 이유는 몇 가지가 있습니다.
미국 금리 동결 및 인하 지연
: 비트코인은 금리 하락 기대감에 강세를 보이지만, 연준이 조심스러운 태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ETF 자금 유입 둔화
: 초반 강한 상승을 이끌었던 현물 ETF 흐름이 점차 안정세에 접어들며 추가 상승 동력이 약해졌습니다.거래량 감소 및 수급 공백
: 여름 시즌과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 속에 대형 투자자들도 '관망'하는 분위기입니다.
3.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승이 기대되는 이유
하지만 단순히 ‘조정’이라 보기엔 여전히 긍정적인 요소가 많습니다.
비트코인 반감기(2024년 4월) 효과 지연 반영 중
: 과거 사례들을 보면, 반감기 직후가 아니라 6~12개월 뒤부터 본격적인 상승장이 펼쳐졌습니다.미국 대선 이슈
: 대선 전후로는 전통적으로 위험자산이 반등세를 보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특히 암호화폐 정책 완화 기대가 반영될 경우 강한 상승이 가능하죠.기관투자자의 꾸준한 저점 매수
: ETF 잔고는 보합세지만, 기관 투자자들은 여전히 저가 매수를 지속하고 있다는 분석이 많습니다.
4. 상승 시점은 언제쯤일까?
전문가들은 대체로 2025년 하반기에 상승장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특히 9~10월은 미국 금리 인하 가능성, 대선 이슈, 반감기 효과 등
여러 재료가 맞물리는 시점이라 기대감이 높습니다.
📌 주요 포인트 정리
7월~8월 : 여전히 박스권 예상
9월~10월 : 금리 인하 기대감 + 대선 이슈로 반등 가능성
2025년 4분기 : 본격적인 상승 추세 진입 유력
5. 지금은 어떻게 대응하는 게 좋을까?
비트코인이 박스권에 있다고 해서 무조건 ‘기다려야만’ 하는 것은 아닙니다.
✔ 전략 1. 분할 매수와 장기 보유
저점 근처에서 소량씩 매수하고, 상승장을 기다리는 전략
반감기 후 장기 상승장 가능성을 믿는 투자자에게 적합
✔ 전략 2. 스테이블코인 대기 전략
박스권 하단 이탈 또는 돌파 후에만 진입하는 보수적 접근
리스크를 최소화하면서 기회를 노리는 방식
✔ 전략 3. 변동성 활용한 단기 트레이딩
박스권 상하단의 반복 흐름을 활용해 짧게 수익 실현
마무리하며
지금의 비트코인 시장은
지루하지만 의미 있는 ‘숨 고르기’ 구간일 수 있습니다.
오히려 이럴 때 시장을 냉정하게 분석하고, 자신만의 투자 전략을 세워두는 게 중요하죠.
비트코인이 다시 날아오를 그날을 위해,
지금 우리는 인내심과 분석력을 쌓아가는 중입니다.
이런 글도 함께 보면 좋아요
비트코인 반감기 이후 과거 상승 사이클 분석
비트코인 ETF 잔고 추이와 기관 투자 전략
미국 금리 인하가 비트코인에 미치는 영향
궁금한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다음 글에서 더 깊이 있게 다뤄볼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