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벙커버스터
- 뉴욕증시, 美의 이란 군사 개입 우려에 일제히 하락
- 트럼프 대통령 "이란 최고지도자 위치 안다" 최후통첩
- 중동 불안에 WTI·브렌트유 4% 넘게 급등…투심 위축
- CNN "트럼프, 외교적 해법보다 미군 동원에 무게"
- 트럼프 대통령, G7 도중 조기 귀국…국가안보회의 소집
- 트럼프, 이란 핵시설에 초강력 '벙커버스터' 투하할까
- 지하에 건설된 이란 핵기지 '포르도'…미국만 파괴 가능
- 포르도 파괴하려면 GBU-57도 여러 발 떨어뜨려야
- 폭격기·폭탄 동원하는 순간 미국은 전쟁 당사자로 변해
- 이스라엘 등 '벙커버스터' 사용 압박하나 반대도 강력
- 트럼프, '벙커버스터' 사용 위협하며 이란과 협상 시도
- "중동 전쟁에 군사 자산 추가 투입되면 中 억제 위축"
- 트럼프, GBU-57 옵션 협상 끌어내기용으로만 사용
- '태풍의 눈' 벙커버스터, 표적 내부로 파고들어 폭발
- 벙커버스터, 콘크리트·지하 벙커 등 구조물 파괴에 사용
- 걸프전 때 미군 사용한 GBU-28, 지하 30m 뚫어
벙커버스터 이스라엘- 이란 본게임 미국 개입을 하고 직접 타격할 수도 있죠? 미국 외교적 해결은 불가할 것으로 예상하며 이란 분위기 당장 항복하는 것도 리비아 때 항복이후 결과가 처참했기에 결사항전 할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 목표 농축 우라늄 시설 붕괴 뚫는 벙커버스터가 있어요. 콘크리트 쇠도 뚫도 들어간다고 합니다.
폭탄에 들어가는 비용이 한나라 예산을 맞 먹고 항복하지 않으면 직접 타격하거나 이스라엘에 주거나 두가지 카드가 있어요.
이스라엘 헤즈볼라 북부 조용한 이유는 벙커버스터 과거 버전에 40m를 파고 들어가 전원 살해하여 주인이 없다고 하죠
이란 핵 60% 농축이 되어 있고 90% 올라가면 핵이 완성되죠. 핵탄두 일촉즉발 입니다. 트럼프는 핵농축도 선택지가 없어요. 이스라엘 이란 어쩔 수 없는 전쟁입니다. 재래식 무기로 핵시설 파괴를 했고, 벙커버스터를 사용하기 위한 방공망 해체하는데 주력했습니다.
전쟁이 국제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는데요
| 맥 빠진 G7
- 전쟁 이견에 트럼프 기습 귀국까지…맥 빠진 G7 정상회담
- 러시아 추가 제재 반대한 트럼프, 16일 조기 귀국
- 트럼프 1월 재집권 이후 참석한 첫 다자회의 중도 이탈
- 트럼프 "회원국에 양해 구했다"…美 빠진 회의에 실망
- 러시아 옹호성 발언도…G8 체제서 러시아 제외 "실수"
- 2014년 러시아 회원 박탈, 크림반도 강제 합병 때문
- 중동 정세 두고도 마찰…"긴장 완화 촉구 성명 거부"
- 조기 귀국 사유 두고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언쟁도
G7 조기귀국 원성에 비난 전세계 정상들 전세계 20개국 모였는데요. 트럼프 바쁘다고 가버렸어요. 세계현안이 너무 많다 관세 우크라이전쟁 이스라엘전쟁 등 근데 피한 거죠
미국 주도하는 진지한 모임이였는데 글로벌시대 아닌 미국 중심 일방으로 주도하는 방식이 되었습니다.
| FOMC 금리인하
- '중동 불안'에 고민 커진 연준…미국 금리 향방은?
- 미국·영국 금리 결정…"금리 인하에 신중할 것" 전망
- 연준 통화정책 경로 주목…점도표·파월 의장 기자회견 등
- 연준, 최근 인플레 완화 불구 유가 급등 가능성 주시
- 중동 무력 충돌 격화 시 원유 가격 80달러 돌파 전망
- 코로나19 이후 물가 급등…에너지 가격 상승 '경계'
- 트럼프 관세 전쟁 여파, 스태그플레이션 위험까지 상존
- 연준, 지난해 12월 금리인하 이후 계속해서 동결 유지
- CME 페드워치, 6월 금리동결 가능성 99.9% 반영
- 美 경기 둔화 국면 진입…전문가들 "인하 너무 늦다"
- 영국 잉글랜드은행, 지난달 금리인하…이번엔 동결 전망
- 호르무즈 해협 봉쇄하지 않는다면 유가 급등은 제한적
- 중동 무력 충돌, 연준 금리인하 오히려 앞당길 수도
- "유가 지속 상승 시 연준 더 비둘기파 기조 가능성"
FOMC 금리인하 내리기 어렵죠. 연준결정이 필요합니다.
원래 9월에 내릴 가능성이 있었지만 중동불안 스테이그플레이션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 국가경쟁력
- 韓 국가경쟁력 20→27위…기업효율성·인프라 순위 급락
- 스위스 IMD '2025 국가경쟁력 평가 결과' 발표
- 경제 성과·효율성·인프라 등 4개 분야 337가지 평가
- 韓, 69개국 가운데 27위…지난해 역대 최고 20위
- 기업 민첩성, 기회·위협 대응, 인재유치 등 평가 급락
- 인프라 경쟁력 저하, 국가 성장 잠재력 위협하는 요인
- 기업 활력 높이고 신기술 확보 나서지 않으면 밀려날 것
국가경쟁력 우리나라 순위가 떨어졌어요
현재 기업이 문제다 효율이 없다 한국은 재벌구조 때문에 망할 수 있다 쪼개기 성장 유상증자로 돈버는 구조라서 더 그렇다고 합니다. 예전에 기업가 정신은 사라졌죠.
출처 : sbs biz
#김대호박사의오늘의키워드 #sbsbiz채널 #경제흐름읽기 #시간은소중히쓰자 #주식투자 #부동산투자 #진인사대천명 #벙커버스터 #맥빠진G7 #FOMC금리인하 #국가경쟁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