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10일) 이마트와 롯데쇼핑 주가가 각각 8.28%, 9.03% 폭락하며 유통업계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발단은 더불어민주당 오세희 의원의 언론 인터뷰였습니다.
오 의원이 “대형 마트들이 법정 공휴일에만 휴업할 수 있도록 우리 당이 법안을 처리할 것”이라고 밝히자, 시장은 즉각적으로 싸늘한 반응을 보인 겁니다.

의무 휴업 규정의 롤러코스터
대형 마트의 의무 휴업 규정은 지난 2012년 처음 도입됐습니다. 당시에는 소상공인 보호라는 취지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이 불편을 겪는다는 불만이 많았죠.
게다가 대형 마트가 쉬면 인근 소상공인 매출도 함께 줄어든다는 역효과까지 지적되면서 상황은 달라지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2023년부터 대구를 시작으로 많은 지방자치단체들이 조례를 바꿔 의무 휴업일을 공휴일에서 평일로 전환하기 시작했습니다.
현재 이마트는 155개 점포 중 63곳, 롯데마트는 111개 점포 중 39곳이 평일 휴업을 하고 있을 정도로 변화의 흐름이 뚜렷했죠. 소비자들은 주말에 대형 마트를 이용할 수 있게 되어 환영하는 분위기였습니다.
다시 공휴일 강행? 소상공인 출신 의원의 움직임
하지만 오세희 의원을 비롯한 일부 민주당 의원들은 지난해 9월, 대형 마트 의무 휴업일을 공휴일 중에서 지정하도록 의무화하는 내용의 유통산업발전법 개정안을 발의했습니다.
이는 지자체들의 평일 휴업 전환 흐름을 되돌리고, 아예 법으로 공휴일 휴업을 강제하겠다는 의도입니다.
오 의원은 소상공인연합회장 출신으로, 소상공인 보호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녀는 "일요일에 두 번 쉬었다고 해서 꼭 적자를 보는 것은 아니다. 그건 그들의 입장"이라며 대형 마트 측의 우려를 일축하기도 했습니다.
민주당 내부 이견, 그리고 대형 마트의 절규
이러한 움직임에 대해 민주당 내부에서도 의견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일부 민주당 의원들은 페이스북을 통해 "소상공인 보호도 중요하지만, 다양한 생활 방식을 가진 국민 생활 편의도 함께 고민돼야 한다", "자칫 소비자의 불편만 가중시키는 방식으로 추진될 수 있다는 점에서 반대한다"는 목소리를 냈습니다. 이는 소비자들의 주말 쇼핑 편의를 무시할 수 없다는 인식이 당내에도 존재한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하지만 대형 마트 기업들의 시름은 깊어지고 있습니다. 한 관계자는 "공휴일 매출이 평일 대비 2배가량 많다"며 "이커머스의 공세 속에 고전하고 있는데 공휴일 의무 휴업이 도입되면 절망적"이라고 밝혔습니다.
가뜩이나 온라인 쇼핑과의 경쟁에서 힘겨워하는 상황에서, 매출 비중이 높은 공휴일 영업까지 제한된다면 그 타격은 상상 이상일 겁니다. 실제로 대형 마트 공휴일 의무 휴업은 민주당이 지난 3월 발표한 20대 민생 의제에도 포함되어 있어, 법안이 현실화될 가능성이 없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