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자본주의 밸런스 톨라니 입니다.

 

현지 시간 6일 미국 노동부는 5월 고용지표를 발표하였는데요. 비농업 일자리가 전원 대비 139천명 증가했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이는 WSJ(월스트리트저널)이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 125000명 보다 많았으며, 의료(62000)를 비롯해 여가·접객업(48000), 사회지원(16000) 부문이 5월 고용 증가를 주도했는데요.



 

이에 미국 5월 고용지표 결과 및 평가관련하여 국제금융센터 보고서를 통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미국 5월 고용지표 결과 및 평가

출처 : 국제금융센터 황유선 책임연구원 / 권혁우 연구원

 

01. 결과

미국 5월 비농업고용은 13.9만명 증가했으며, 실업률은 4.2%로 유지



 

1) 비농업고용

13.9만명 증가하면서 전월치(+14.7) 대비 축소되었으나 시장 예상(+12.6, Bloomberg)은 상회. 3~4월 고용은 이전 발표치 대비 총 -9.5만명 하향조정*

 

3 18.5 → 12.0만명(-6.5), 4 17.7 → 14.7만명(-3.0)

 

ㅇ 보건의료(+6.2), 여가ㆍ접객(+4.8), 사회복지(+1.6) 등 서비스업 중심으로 증가. 제조업은 감소(-8), 건설업(+4)은 증가. 연방정부 고용(-2.2)은 감소폭 확대

 

ㅇ 임시직 서비스업 고용은 251.0만명(전월대비 -2.0)으로 감소



 

2) 실업률

4.2%로 전월(4.2%) 수준을 유지했으며 및 예상(4.2%)에 부합(4.187 → 4.244%)

 

ㅇ 경제활동참가율은 62.4%(예상 62.6%)로 전월대비 -0.2%p 하락

 

3) 임금 상승률

ㅇ 시간당 평균임금(AHE: average hourly earnings)은 전월대비 +0.4%(전월 0.2%, 예상 0.3%), 전년동월대비 +3.9%(전월 3.9%, 예상 3.7%) 상승

 

ㅇ 주당 평균근무시간(AWH: average weekly hours) 3개월 연속 34.3시간 기록(예상 34.3)



 

02. 평가

5월 고용지표의 세부 항목들은 노동시장이 점진적으로 완화되고 있음을 시사.다만 가파른 냉각 조짐은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어, 경제 불확실성이 명확해질 때까지 연준이 관망세를 유지할 수 있는 환경이 지속

 

1) 고용

ㅇ 비농업고용, 실업률 등 주요 지표의 표면적 수치는 견조하나 세부적으로는 둔화 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트럼프 행정부 정책에 따른 영향도 가시화

 

5월 민간고용은 +14.0만명으로 양호한 증가세(3개월 평균 +12.2, 12개월 +12.4)를 보였으나, 경기 민감도가 낮은 업종에 집중*되는 모습

* 고용이 증가한 업종 수는 3 13 → 4 12 → 5 9개로 감소(Morgan Stanley)

 

- 5월 보건의료 및 사회복지 서비스 부문 고용은 7.8만명 증가했으며(총 민간고용 증가폭 중 56%), 올해 들어 5개월 연속 민간고용 증가분의 50% 이상을 차지

 

- 연초 수습직원 해고 지연, 고용동결 조치에 따른 자연적 감소를 반영한 연방정부 고용 감소(우정서비스 제외 -1.6), 연방지출 삭감에 민감한 과학 연구개발(-4) 업종의 고용 감소 등 연방정부 효율화 정책에 따른 영향이 가시화(Nomura, BNP Paribas )

 

ㅇ 실업률은 4.2%로 작년 5월부터 등락하던 좁은 레인지인 4.0~4.2%를 유지했으나, 경제활동참가율이 하락하지 않았다면 큰 폭으로 상승했을 가능성

 

- 실업률은 4.244%로 반올림 기준 4.3%에 근접. 경제활동참가율이 전월 수준(62.6%)을 유지 했다고 가정할 경우 실업률은 4.6~4.7%로 상승했을 것으로 추정(Citi, Morgan Stanley)

 

- 경제활동참가율은 주요 인구 집단 전반에 걸쳐 하락했는데, 적령 남성의 경제활동참가율 하락은 이민제한 정책 강화에 따른 추방 우려에 기인할 소지(BofA)

 

ㅇ 이 외 고용률 하락, 고용실업으로의 유입 확대 등도 노동시장 둔화 징후

 

-  고용률이 59.7% `22년초 이후 최저수준(전월대비 -0.3%p)으로 하락한 것은 기업들의 노동수요가 감소하기 시작했다는 신호(HSBC)

 

-  고용실업으로의 유입은 4 155 → 5 180만명으로 늘어났는데, 이는 노동시장이 냉각되었던 작년 7월과 동일한 수준(JP Morgan)



2) 통화정책


ㅇ 노동시장의 점진적 둔화에도 임박한 악화 조짐은 부재한 만큼, 연준은 정책조정을 서두르지 않겠다는 입장을 견지할 전망

 

ㅇ 주요 IB들은 대부분 실업률 유지, 견조한 고용 증가세 등을 바탕으로 연준이 최소한 7월까지 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예상. 금리인하 재개 예상 시점은 12월에 무게*

 

10 IB 5곳이 12월 금리인하 재개 전망. 2곳은 연내 동결, 2곳은 9월 재개, 1곳은 6월 재개 전망



 

- 노동시장의 가파른 냉각 징후는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어 연준이 단기적으로 관세 인상에 따른 인플레이션 위험에 집중할 수 있는 여건이 지속(Nomura)

 

- 5월 고용지표 서베이는 미-중 관세 일시적 유예 합의 이전에 시행되었는데도 노동 시장이 급격한 냉각을 회피한 것은 연준의 신중한 스탠스를 뒷받침(BofA)

 

- 선물시장에 반영된 9월 금리인하 확률은 6.5 94.8% → 6.6 68.3%로 하락했으며 (6월 확률은 6.5 2.5% 금리인하 → 6.6 0.1% 금리인상), 연중 예상 금리인하 폭은 53.6bp → 44.3bp로 축소



 

03. 시사점


ㅇ 아직까지는 노동시장이 안정적이나 여름부터 본격적으로 악화될 수 있으며,관세 인상에 따른 인플레이션 및 기대인플레이션 상승까지 가세할 경우 연준의 통화정책 대응 여건이 더욱 복잡해질 수 있음에 유의할 필요

ㅇ 미국 노동시장은 전반적인 경제성장 모멘텀 약화 속 하방압력이 우세하며,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정책 불확실성에 취약(Nomura, ING )

 

– 주초 발표된 연준 5월 베이지북에 따르면 불확실성으로 인해 채용을 미루고 있다는 응답이 미국 전역에서 광범위하게 나타났으며, 모든 지역에서 근무시간 감소, 고용 동결, 감원 계획 등 노동수요가 감소

 

• 최근 신규ㆍ계속 실업수당청구건수 증가, 컨퍼런스보드 노동시장 편차(일자리 풍부 응답 비중부족 응답 비중) 추가 축소 등도 향후 노동시장 추가 약화 우려 요인

 

– 한편 시간당 평균임금의 오름폭 상승(4 +0.2% → 5 +0.4%)은 관세에 따른 인플레이션 장기화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어 연준의 이중책무가 충돌(BNP Paribas)

 

– 인플레이션, 실업률의 동반 상승 위험으로 연준의 선제적 정책대응 여력이 제한 되고 있으나(Barclays), 연준이 뒤늦게 대응하면서 더욱 공격적인 금리 인하로 이어질 수 있다는 시각도 존재(Cit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