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가 대학시절(학사 및 석사)

전공수업 들었던 중

몇안되는 재미있는 강의로 유명하셨던

한순구 교수님의 칼럼이 있어 공유드립니다.



한순구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 역시 노동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한 교수는 ‘재테크 명강’에서 ‘경제학으로 풀어보는 부자들의 DNA’를 주제로 강연했다.

그는 “모두가 건물주를 부러워하지만 연봉 5000만원을 버는 직장인이라면

25억원짜리 꼬마 빌딩을 보유한 것과 다르지 않다”며 “근로소득을 포기해서는 안 되는 이유”라고 말했다.


--------------------------------------------------------------------------------------------------------------------------------------


2.

틀린말이 아니죠.

25억짜리 건물 하나에서

월세가 400만원 정도 나오니,

연봉 5000만원 직장인과 동일

자본가치를 지녔다고 볼 수 있음.




동일하게

배당주 20억(배당수익률 7%) 투자하면,

연봉 1억원의 직장인과 동일



투자로 큰돈을 벌고 싶어 하는 20~30대들에게 한 교수는 “지금은 종잣돈을 쌓아야 할 시기”라고 조언했다.

500만원, 1000만원으로 투자를 하기보다는 많은 정보를 가진 사람들과 만날 수 있는 지위까지 올라가는 것이

결과적으로 더 큰돈을 벌 수 있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부자로 가는 첫걸음은 ‘절약’이라는 점도 언급했다.

한 교수는 “경제학적으로 부자는 단순히 돈이 많은 사람을 의미하지 않는다”며

저축을 많이 하는 사람이 경제학적인 부자”라고 말했다.

--------------------------------------------------------------------------------------------------------------------------------------------


늘 제가 강조하던 말이죠?

투자하기 전에 종자돈(시드머니) 모으는게 중요하다고!

종자돈을 모으려면 절약하고 저축해야한다고!

1억 이하는 투자보다는 저축(예적금)해야 합니다.

누가 빨리 1억을 모으느냐가

향후 승리의 성패가 결정되요.

전 30살 이전에 1억 모으기 위해

회사 다니면서도 투잡으로 과외를 뛰었고

그 결과 30살에 2억을 모을 수 있었습니다!


2030때는

1) 근로소득 정말 중요하다

2) 사회초년생때는 월급을 절약하며 저축해 종자돈을 마련해야한다

3) 월급을 계속 올리거나(이직 등) 부수입을 통해 속도를 높인다

4) 종자돈으로 3040때 부동산, 주식 등에 투자해 자본소득을 구축한다.

전 이미 4번을 진행중이지만

1~3번도 꾸준히 병행해서 실행하고 있습니다.

하루라도 빨리 실행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