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일(현지 시간)부터 미국으로 수입되는 외국산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5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음
올 3월부터 이들 제품에 부과해 온 25%의 관세를 두 배로 올리는 것. 이에 따라 대미(對美) 수출 비중이 9.8%를 차지하는 한국 철강업계의 피해가 예상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0일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의 US스틸 공장을 방문한 자리에서 “관세가 25%일 때는 허점이 있었지만 50%가 되면 더 이상 (미국 시장 진입) 울타리를 넘을 수 없을 것”. 일본제철의 US스틸 인수 및 투자를 기념해 가진 연설에서 밝힌 ‘깜짝 발표’
이후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인 트루스소셜을 통해 4일부터 철강뿐 아니라 알루미늄에 대한 관세도 50%로 올리겠다고 했음
국내 철강업계는 대미 수출 감소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음. 특히 대미 의존도가 각각 97.9%, 78.2%에 달하는 유정용 강관과 송유관 제조업체들의 타격이 클 것으로 분석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는 미국의 철강 등 관세 인상에 대해 “해결책이 나오지 않을 경우 추가 대응에 나서겠다”며 보복을 예고
트럼프 행정부는 3월 12일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외국산 철강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 당시 한국은 2018년부터 적용받던 연간 263만 t까지 무관세로 수출할 수 있는 쿼터제(수입 물량 할당제)가 폐지되면서 이후 모든 수출 물량에 대해 관세가 적용
관세 부과 이후 미국 내 철강 가격은 급격히 상승. 미국 철강 가공유통업체 피닉스 스틸 서비스에 따르면 올해 1월 약 700달러 수준이었던 미국 중·서부 열연강판 가격은 4월 초 940달러로 34.3% 급등
미국철강협회(AISI)가 집계한 4월 철강 수입량은 207만3000t으로 전월(250만1000t) 대비 17.1% 줄었음
한국은 4월 기준 미국의 세 번째 철강 수입국. 한국산 수입량이 전월 대비 26.9% 감소했지만 여전히 18만5000t으로 상당한 물량을 한국에서 공급
국내 1위 철강기업 포스코도 추가 타격이 불가피한 상황. 포스코의 직접 대미 수출 비중은 2∼3% 수준이지만 열연강판과 후판 등의 소재를 국내 강관업체에 공급하고 있어 강관업체의 수출 둔화가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음
민동준 연세대 신소재공학과 명예교수는 “미국이 매년 2000만 t 이상 철강을 수입해 온 건 그만큼 현지 생산량이 수요를 뒷받침하지 못하기 때문”이라며 “관세 조치로 미국 철강사들이 혜택을 볼 순 있겠지만 이들이 단기간에 생산량을 끌어올릴 수 없기 때문에 결국 피해는 소비자들이 입게 될 것”
<시사점>
미국에 대한 한국 철강 수출 비중은 약 13% 수준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024년 기준으로 미국철강협회는 2,618만톤의 철강을 수입했는데, 우리나라는 캐나다, 브라질, 멕시코를 이어 네번째입니다. 관세 부과전 캐나다와 멕시코로부터의 철강 수입은 축소되고 있었으며, 브라질과 한국으로부터의 철강 수입은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이 관세부과 및 추가부과로 큰 변화가 발생할 전망입니다.
무엇보다 일본의 약진이 두드러질 전망입니다. 일본제철의 US스틸 인수가 이루어지면 일본은 미국의 여섯번째 철강수입국의 위치에다가 US스틸의 철강 생산분을 더하게 되어 한국을 추월할 전망입니다.
일본은 관세를 회피한 철강 생산을 통해 미국 철강시장에서 우위를 차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동차 시장에서도 알본보다 열위에 처하게 되었습니다.
현대제철과 포스코가 2029년 270만 톤 규모의 전기로 제철소를 루이지애나로 건설할 예정이지만 그때까지가 문제가 될 전망입니다.
현대차그룹은 2025년 3월 26일 메타플랜트 아메리카 공장을 준공하는 등 120만대 생산이 가능한 상태입니다. 이는 현재 판매량 171만대의 약 70% 수준(일본은 60% 수준으로 알려짐)입니다.
일본제철의 US스틸 인수는 우리나라에게 큰 재앙이 되고 있습니다. 일본이 철강 현지 생산 확대를 통해 공격의 주도권을 가지게 되었으며, 이는 한국의 철강업계뿐 아니라 자동차업계까지 연계된 위기상황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번 철강관세 50% 부과도 US스틸 종사자의 일본제철 인수 불만을 완화하기 위한 수단이라는 말이 나오고 있어 이래저래 한국의 불만이 높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이러한 조치는 한국이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서고 있습니다. 이 상황에 가만히 있는 것은 바보일 것입니다. 미국과의 줄다리기 협상을 통해 한국에 대해서는 철강관세를 원점으로 되돌리록 해야 할 것입니다. 트럼프 1기 때도 한국은 트럼프와 협상을 통해 부과된 관세를 쿼트제로 변경해 회피한 전력이 있습니다. 철강 50% 관세는 우리나라가 받아들일 수 없는 조치이며, 이것을 수정하기 위한 관세협상이 본격적으로 추진되어야 합니다.
<관련 기사>
https://n.news.naver.com/article/newspaper/020/0003638796?date=2025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