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관세란, 미국이 특정 국가로부터 수입하는 제품에 대해 그 나라가 미국 제품에 부과하는 만큼 동일한 관세를 매기겠다는 개념입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미국이 일방적으로 손해를 보고 있다”며 트럼프 1기인 2018년부터 이 정책을 추진해왔습니다.


하지만 최근 들어 공화당 내부에서도 이 정책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으며, 민주당은 물론 국제무역 전문가들 역시 보호무역주의 강화에 따른 부작용을 경고하고 있습니다.
특히 상호관세는 세계무역기구(WTO) 규범과 충돌 가능성이 있고, 전 세계적인 보복관세 확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2025년 들어 트럼프 캠프 측은 다시 한 번 상호관세 도입을 공약으로 제시했지만, 미국 의회와 무역 파트너국들 사이에서 반발이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미국 내 소비자 단체와 제조업체들 역시 원자재 및 부품 가격 상승수출 타격을 우려하며 공개적으로 반대 입장을 내고 있습니다.


최근 미 상원에서는 초당적 의원들이 참여한 가운데, 행정부의 관세 부과 권한을 제한하는 법안이 다시 발의되며 트럼프식 관세 정책에 대한 견제가 본격화되는 양상입니다.
해당 법안은 대통령이 관세를 부과할 때 의회의 사전 승인 또는 사후 검토를 요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이는 행정권 남용 방지를 위한 조치로 해석됩니다.


전문가들은 상호관세 정책이 단기적으로는 정치적 지지를 끌어낼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글로벌 공급망과 물가 안정에 심각한 리스크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