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9 한국은행(한은)이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회의가 열렸다.
이날 금통위는 통화정책방향 문세에서 시장의 예상대로 금리를 25bp 인하한다고 발표했다.
한은이 금리 인하를 결정한 배경은 무엇인지 살펴보자.
금리 인하 결정
5월 한국은행 통화정책방향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기준금리를 현재의 2.75% 수준에서 2.50%로 하향 조정
성장률이 크게 낮아질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기준금리를 추가 인하하여 경기 하방압력 완화
세계경제는 높은 관세율의 영향으로 성장세가 둔화될 전망이며 물가경로의 불확실성도 높은 상황
세계경제와 국제금융시장은 미국과 주요국 간 관세협상, 주요국 통화정책 변화, 지정학적 리스크 전개상황 등에 영향받을 것
국내경제는 1/4분기 역성장에 이어 4월에도 부진한 흐름 지속
고용은 전체 취업자수는 계속 늘어나고 있지만 제조업 등 주요 업종은 감소세 지속
내수 부진이 점차 완화되겠지만 그 속도는 더딜 것
수출은 미국 관세부과 영향 등으로 둔화폭이 확대될 것
금년 성장률은 지난 2월 전망치(1.5%)를 큰폭 하회하는 0.8%로 전망되며 무역협상 전개 상황, 정부 경기부양책, 주요국 통화정책 방향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매우 높음
4월 중 소비자물가와 근원물가 상승률이 각각 2.1%를 나타내며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감
앞으로 물가상승률은 가공식품 및 서비스 가격 인상 등의 상방압력을 국제유가 하락, 낮은 수요압력 등이 상쇄하면서 2% 내외의 안정세를 이어갈 것
금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2월 전망에 부합하는 1.9%, 근원물가 상승률은 지난 전망치(1.8%)를 소폭 상회하는 1.9%로 예상
원/달러 환율이 높은 변동성을 지속하는 가운데 무역갈등 완화, 아시아 통화 강세 등으로 하락
주간는 기업 실적 우려 완화 등으로 상승
주택가격은 서울 지역에서는 오름세, 여타 지역에서는 하락세 지속
가계대출 증가규모는 지난 2~3월 중 늘어난 주택거래 영향으로 확대
국내경제는 금년 중 성장률이 크게 낮아질 것으로 전망되며 향후 성장경로의 불확실성도 높은 상황
금융완화 기조 지속에 따른 가계부채 증가세 확대 가능성과 외환시장의 높은 변동성에 유의
향후 통화정책은 성장의 하방리스크 완화를 위한 급리인하 기조를 이어나가되, 이 과정에서 대내외 정책 여건의 변화와 이에 따른 물가 흐름 및 금융안정 상황 등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기준금리의 추가 인하 시기 및 속도 등을 결정해 나갈 것
한국은행의 이번 금리 인하 결정은 심화되는 국내외 경기 둔화 우려에 선제적으로 대응하여 우리 경제의 하방 압력을 완화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여주었다.
기준금리 인하를 통해 기업과 가계의 부담을 줄이고 투자를 유도하여 경기 활력을 되찾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여전히 높은 대외 불확실성과 가계부채 증가, 외환시장 변동성 등의 잠재적 리스크는 통화정책 운영에 있어 신중함을 요구한다.
이번 금리 인하가 우리 경제에 어떤 파급효과를 가져올지, 그리고 한국은행이 앞으로 어떤 정책 방향을 제시할지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지켜봐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