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자본주의 밸런스 톨라니 입니다.

 

세계 주요국 25년도 1분기 경제동향으로 미국과 일본은 역성장을 하였으며, 유로존은 전분기 대비 소폭 상승하였지만,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글로벌 금융 시장 또한 미국 국채 금리의 급상승, 신용등급 하락 등, 국재 발행 증가가 예상되고 있으며, 환율 또한 미국 달러의 약세로 인하여 원달러 환율은 1360/달러 수준까지 급락하였는데요.

 

이에 25년도 5월 기준 세계 주요국 경제 및 금융시장 동향관련하여 해외 경제연구소 산업경제팀이 발간한 보고서를 통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5년도 5월 기준 세계 주요국 경제 및 금융시장 동향

출처 : 해외경제연구소 사업경제팀 보고서

 

01. 세계 주요국 경제 동향

 

1) 미국

1분기 GDP 0.3%(전기대비 연율 기준) 역성장 등 경제 불확실성 확대 양상

 

4월 산업생산(△0.01%) 전월 대비 2개월 연속 감소, 소매판매(+0.1%)는 전월 대비 3개월 연속 증가세

 

4월 비농업부문 취업자 증가폭(+17.7만명)은 전월(+18.5만명) 대비 축소되었으나, 실업률(4.2%)은 전월 수준 유지


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전년동월 대비) +2.3%로 전월(+2.4%) 대비 하락, 근원물가 상승률(+2.8%)는 전월과 동일



 

2) 중국

1분기 경제성장률(전년동기 대비 5.4%) 5%대를 유지했으나, 산업생산 등 4월 경제 지표 악화

 

4월 산업생산 전년동기 대비 증가율은 6.1%로 전월(7.7%) 대비 하락

 

4월 중국 종합 PMI(구매관리자지수) 50.2로 전월(51.4)대비 하락

 

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전년동기 대비 △0.1%) 3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하여 경기둔화 우려 지속



 

3) 유로존

1분기 경제성장률 0.4%(전기 대비 기준)로 전분기(0.2%)보다 소폭 상승했으나 회복세는 미미

 

3월 산업생산(전월 대비 +2.6%) 3개월 연속 증가, 소매판매 전월 대비 0.1% 감소,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2.2%로 전월과 동일



 

4) 일본

1분기 GDP 0.2%(전기 대비) 역성장, 소비자물가 상승률 3%대 지속

 

3월 산업생산(전월 대비 +0.2%) 2개월 연속 증가, 소매판매 전월 대비 1.2% 감소, 소비자물가 상승폭 축소(전년동기 대비 +3.6%)





 

02. 국내 경제 동향



1) 산업 활동

3월 광공업 생산 증가, 경기 선행종합지수도 전월 대비 상승 지속

 

ㅇ 생산

3월 전산업생산은 서비스업에서 줄었으나, 광공업 등에서 늘어 전월 대비 0.9% 증가

 

- (광공업 : +2.9%) : 기계장비(△3.1%) 등에서 줄었으나, 반도체(+13.3%), 의약품(+11.8%) 등에서 증가

 

- (서비스업 : △0.3%) : 보건·사회복지(+3.4%) 등에서 늘었으나, 도소매(△3.5%), 금융·보험(△2.1%) 등에서 감소

 

ㅇ 경기

3월 경기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100.6p)는 건설수주액이 감소했으나, 장단기금리차 확대, 코스피 상승 등으로 전월 대비 0.2p 상승(기준치 100)




 

2) 고용

4월 취업자수 전년동월 대비 19 4천명 증가, 고용률도 0.3%p 상승

 

ㅇ 취업자

4월 취업자수(2,889만명)는 건설업, 제조업 등에서 줄었으나,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정보통신업 등에서 증가해 전년동월 대비 19 4천명 증가

 

ㅇ 고용율

15~64세 고용률(69.9%) 40, 30, 60대 이상에서 상승해 전년동월 대비 0.3%p 상승



 

3) 수출입

반도체·선박 호조로 증가세는 유지, 관세 부과가 시작된 미국 수출은 감소

 

ㅇ 수출

4월 수출은 전년동월 대비 3.7% 증가한 582억 달러

 

- 반도체(+17.2%), 무선통신기기(+26.5%), 선박(+17.3%) 등은 증가했으나, 자동차(△3.8%), 석유제품(△14.4%) 등은 감소

 

- 중국 수출(+3.9%) IT 품목 호조로 증가했으나, 미국 수출(△6.8%)은 자동차, 일반기계 감소로 마이너스 전환

 

ㅇ 수입

4월 수입은 유가하락으로 원유 등 에너지 수입이 줄어 전년동월 대비 2.7% 감소한 533억 달러

 

ㅇ 무역수지

4 48.8억 달러 흑자로 1~4월 누적 무역수지 121.5억 달러 흑자 기록



 

4) 교역조건

/달러 환율 및 국제유가 하락 영향으로 수출입물가 하락

 

ㅇ 수출물가

4월 수출물가(원화기준)는 원/달러 환율 및 석탄및석유제품 가격 하락으로 전월 대비 1.2% 하락

 

ㅇ 수입물가

4월 수입물가(원화기준)도 국제유가 하락 등의 영향으로 전월 대비 1.9% 하락



 

03. 국내외 금융시장 동향



1) 금리

미국채 수익률, 미국의 신용등급 하락, 국채 발행 증가 가능성 등으로 상승

 

ㅇ 미국

미국의 인플레 우려, 미국의 신용등급 하락(무디스 : AAA → Aa1, 5/16), 재정 적자 확대에 따른 국채 발행 규모 확대 전망 등으로 장기물 중심으로 금리 상승세를 보이며 미국채 10년물 수익률이 4.6%에 육박

 

ㅇ 한국

국고채 금리(3년물)는 미국의 금리 상승에도 불구하고 내수 경기부진 지속, 글로벌 경제 둔화 및 수출 위축 우려 확대에 따른 금리인하 가능성 등으로 2.3%대로 하락



 

2) 환율

미국 경제 정책 및 성장세에 대한 글로벌 우려 확대로 미달러화 약세

 

ㅇ 원/달러 환율

/달러 환율은 수출부진에 대한 우려 확대에도 불구하고 5월 외국인 주식 순매수, 미국의 신용등급 하락에 따른 미달러화의 글로벌 약세로 1,365/달러 수준으로 급락

 

ㅇ 엔/달러 환율

1분기 마이너스 성장 기록과 그에 따른 일본은행의 금리동결 및 향후 인상 가능성 약화 등으로 148/달러(5/12) 수준으로 급등한 이후 미달러화 약세로 143/달러대로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