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I가 현대차·기아의 유럽 전기차(EV)에 적용될 각형 배터리를 공급하기 위해 헝가리 공장에 대한 대대적인 증설과 개조 작업에 돌입
1조 6500억 원의 유상증자를 성공시킨 삼성SDI는 생산 시설을 확대, 전기차 판매 회복세가 상대적으로 빠른 유럽 시장을 공략해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을 조기에 돌파한다는 구상
26일 배터리 업계에 따르면 삼성SDI는 헝가리 괴드 공장에 대한 증설 작업을 시작
유상증자로 확보한 자금을 통해 헝가리 1공장 개조와 2공장 증설에 나설 방침이라고 밝혔는데 이의 빠른 이행에 나선 것
삼성SDI는 최근 우리사주조합과 구주주를 대상으로 벌인 유상증자 청약률이 100%를 넘어 1조 6500억 원 규모의 신규 자금이 이달 30일 유입
회사는 확보한 자본금 중 3236억 원을 헝가리 공장에 투입해 생산 시설을 대폭 업그레이드할 예정
헝가리 공장은 삼성SDI가 2조 원 이상을 투입해 건설한 유럽 내 핵심 거점
2017년 회사 측은 약 9600억 원을 투자해 브라운관 등을 생산하던 공장을 전기차 배터리 공장으로 전환
이후 1조 원 이상을 추가 지원해 2022년 말 제2공장을 준공했으며 약 40GWh(기가와트시), 준중형차 60만 대에 탑재할 배터리를 생산할 능력을 구비
삼성SDI는 헝가리 공장에서 각형 배터리를 현재 두 가지 버전으로 만들고 있음. 1공장에서는 양극재와 분리막·음극재 등의 소재를 엮어서 돌돌 말아 캔에 넣는 와인딩 방식, 2공장에서는 소재를 층층이 쌓아서 넣는 스태킹 방식의 배터리를 생산
신규 공급계약은 에너지밀도가 높은 스태킹 방식의 배터리 위주로 이뤄지고 있음. 이에 따라 삼성SDI는 헝가리 공장을 스태킹 공법이 적용된 각형 배터리 전용 생산 시설로 바꿀 방침(1공장도 스태킹 공법으로 개조)
삼성SDI가 유상증자까지 단행하며 헝가리 공장을 증설·개조하는 배경에는 환경 규제 강화로 전기차 판매가 급증하고 있는 유럽 시장이 있음. 유럽연합(EU)은 올 1월부터 신차의 평균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1㎞당 93.6g로 규제하고 있음. 배출량 기준을 초과하는 완성차 업체는 1g당 95유로(15만 원)씩 과징금을 내야 함. 규제를 피하기 위해 완성차 업체들이 전기차 판매를 늘리고 있고 나아가 보급형 전기차 출시를 앞당기는 등 대응에 나선 상황임
업계에서는 환경 규제의 영향을 두고 “규제가 캐즘을 눌렀다”는 분석까지 내놓고 있음.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 1분기 유럽 시장의 전기차 인도량은 약 89만 8000대(PHEV 포함)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2.8%나 증가했음. 삼성SDI도 유럽 전기차 시장의 변화에 발맞춰 헝가리 공장 생산능력을 빠르게 끌어올리는 것임
삼성SDI는 내년부터 현대차·기아의 유럽형 전기차에 들어갈 배터리 공급을 시작. 업계에서는 삼성SDI가 2032년까지 약 50만 대 분량의 배터리를 현대차·기아에 공급할 것으로 보고 있음
삼성SDI는 BMW와 폭스바겐 등에 이어 유럽에서 전기차 판매량을 늘리고 있는 현대차·기아까지 고객사로 확보해 매출이 빠르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
업계 관계자는 “완성차 업체들은 유럽의 탄소 배출 기준을 맞추지 못하면 엄청난 벌금을 내야 하기 때문에 전기차 판매에 힘을 쏟고 있다”며 “유럽의 탄소 배출 규제가 캐즘 극복의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말했음
삼성SDI의 북미 전기차 시장 공략
삼성SDI는유상증자를 통해 조달한 자금을 '북미 전기차 시장' 공략에 활용하겠단 계획. 미국 제너럴모터스(GM)와의 합작법인을 투자하고 헝가리 공장 생산능력 확대, 전고체 배터리 라인 시설 투자 등에 사용
앞서 지난해 8월 삼성SDI와 GM은 미국 인디애나주 뉴칼라일(New Carlisle)에 전기차 배터리 합작법인 설립을 확정. 양사는 2027년 양산을 목표로 약 35억 달러를 투자해 초기 연산 27기가와트(GWh)규모의 공장을 설립한다는 계획. 연산 규모는 향후 36GWh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
합작 법인에서는 NCA(니켈·코발트·알루미늄) 기반의 고성능 하이니켈 각형 배터리를 생산하고, 해당 배터리는 향후 출시될 GM 전기차에 탑재될 예정
삼성SDI의 각형 배터리는 높은 에너지 밀도를 통해 주행거리를 향상시킨 동시에 금속 재질 외관과 안전장치(Vent)를 탑재해 안전성 측면에서도 뛰어난 것으로 평가받고 있음
미국 전기차용 배터리 수요는 지난해 114GWh에서 2030년416GWh, 2034년 579GWh로연평균 18% 성장할 것으로 전망. 다만 중국 기업들의 미국 시장 우회 침투와 리튬인산철(LFP) 점유율 고려 시 한국 기업들이 침투 가능한 시장 규모는 2030년 326GWh, 2034년 446GWh로 제한될 것으로 예상됨
중국 대표 배터리 굴기를 대표하는 'CATL'은 이미 전고체와 차세대원통형 배터리에 수조원대 투자를 진행하고 있음. 특히 내년부터는 포드와 20GWh규모의 LFP 배터리 공장을 가동할 예정임. CATL은 이번 투자를 토대로 포드를 비롯한 미국 고객사를 다수 확보하겠단 목표임. 해당 공장은 포드가 CATL로부터 배터리 기술 라이선스를 받아 100% 자회사 형태로 운영됨
이외에도 중국 배터리 제조업체인 'AESC' 역시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주에서 연간 30GWh규모의 BMW향 전기차용 배터리 공장과 ESS용 배터리 공장을 건설 중임
다만 미국과 중국간 패권 경쟁이 지속되면서 양국의 관세 경쟁이 치열해지는 점은 국내 업체들을 둘러싼 수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음. 미국은 올해부터 중국산 배터리에 대해 최대 45%의 추가 관세를 적용하는 등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음
김현수 하나증권 연구원 : "미국은 중국 배터리 공급망에 대해 매우 강한 견제 스탠스를 유지 중으로 한국 기업들의 점유율 상승세는 지속될 전망". "한국 셀 메이커 3사의 2030년 케파(생산능력)는349GWh로 2031년부터 초과 공급이 해소될 것"이라고 내다봄
<시사점>
삼성SDI가 1조 6,500억원의 유상증자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유럽 헝가리공장의 증설과 개조작업에 돌입했다는 소식입니다.
한국에는 여러 주력 산업이 있지만 언제부터인가 2차전지가 주력산업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그런데 이 2차전지가 전기차 판매 둔화와 미국의 관세, IRA 법 개정 등으로 크게 위축되고 있어 우려를 자아내고 있습니다.
이번 삼성SDI가 유럽향 수요 증대를 위해 헝가리공장의 증설 및 개조를 추진한다는 발표는 한국의 어려운 2차전지업에 희망을 안겨다주는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습니다. 유럽연합이 올해부터 신차의 평균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1㎞당 93.6g로 규제하고 있어 전기차 수요가 늘어날 조짐을 보이고 있다고 합니다. 삼성SDI는 내년부터 현대차와 기아차의 유럽형 전기차에 들어갈 배터리 공급을 시작합니다.
2차전지업은 2025년 하반기부터 회복세에 들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나라의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의 가동률이 하반기부터 하락에서 상승으로 반전될 전망입니다.
삼성SDI의 전고체 배터리는 2027년 상용화를 계획하고 있는데, 동사의 전고체는 독자적인 무음극 기술과 고체 전해질을 적용해 업계 최고 수준의 에너지 밀도(900Wh/L)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1회 충전으로 800km 이상 주행, 1000회 이상 충·방전이 가능한 성능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중국의 전고체 배터리와 비교해 에너지밀도가 높으며, 기술력에도 한단계 위라고 합니다. 초기에는 고급 전기차에 우선 적용이 될 예정이며, ESS와 같은 대용량 저장장치, 항공모빌리티 등으로의 확장성도 갖추고 있습니다.
지긋지긋한 2차전지 캐즘이 삼성SDI의 전고체 배터리 생산으로 일시에 타개되기를 기원해 봅니다.
<관련 기사>
https://n.news.naver.com/article/newspaper/011/0004489848?date=2025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