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미국 하원을 통과한 일명 '메가 법안'이 국내 배터리 업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법안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주요 경제 공약을 담고 있으며, 특히 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AMPC) 폐지 시점과 관련된 내용이 국내 기업들의 초미의 관심사였는데요. 
과연 어떤 내용이 담겼고, 우리 기업들은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요?

1년 앞당겨진 AMPC 폐지 시점, 하지만 '최악은 면했다'?


가장 주목받던 AMPC 폐지 시점은 당초 2032년 말에서 2031년 말로 1년 앞당겨지는 것으로 잠정 결정되었습니다. 
물론 기존 계획보다 혜택 기간이 줄어든 것은 아쉬운 부분이죠. 하지만 법안 논의 과정에서 폐지 시점이 2028년 말까지 대폭 앞당겨질 가능성도 제기되었던 점을 고려하면, 업계에서는 '소폭 조정'에 그쳐 최악은 면했다는 안도 섞인 반응이 나오고 있습니다.
기존 법안에서는 2030년부터 2032년까지 AMPC 혜택 규모가 단계적으로 줄어들 예정이었는데, 이번 하원 통과안에서는 2032년에는 혜택이 완전히 사라지게 됩니다.

전기차 보조금 축소와 세액공제 판매 제도 종료


AMPC 외에도 주목할 만한 변화들이 있습니다. 
전기차 한 대당 7,500달러의 보조금을 주는 세액공제 시점은 당초 2032년 말에서 2026년 말까지로 6년 앞당겨졌습니다. 
이는 국내 전기차 관련 기업들에게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업들이 세액공제 금액을 제3자에게 판매할 수 있었던 제도가 2027년까지만 운용된 후 종료됩니다. 
그동안 LG에너지솔루션과 같은 국내 배터리 회사들은 이 제도를 활용해 환급 절차를 기다리지 않고 즉각적으로 이익을 반영해 왔는데요. 
앞으로는 이익 반영 시기가 다소 늦어질 수 있어 재무 계획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중국 견제 강화, 국내 기업에 '기회' 될까?


이번 법안에는 중국 배터리 업체들의 미국 진출을 막는 조항이 추가되었습니다. 
이는 국내 기업들에게는 반사이익을 기대할 수 있는 요소입니다. 
미국 시장에서 중국 기업과의 직접적인 경쟁을 피할 수 있게 된 것이죠.
하지만 동시에 외국우려기업(FEOC)에 대한 규정이 대폭 강화된 점도 주목해야 합니다. 
국내 기업들도 중국산 원자재를 사용하기 어려워지는 만큼, 공급망 재조정이 시급한 과제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졌다는 의미입니다.
상원 통과가 마지막 관문, 우리 기업의 현명한 대비 필요
하원을 통과한 '메가 법안'은 이제 상원으로 공이 넘어갔습니다. 
상원에서도 공화당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어 큰 이변이 없는 한 하원안대로 통과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일부 내용, 특히 막대한 재정 적자 우려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원에서 재조정이 있을 수도 있다는 전망도 나옵니다.

이번 미국의 '메가 법안' 통과는 국내 배터리 및 관련 산업에 새로운 환경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세액공제 혜택이 줄어드는 것을 넘어, 급변하는 글로벌 공급망과 각국의 경제 정책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지혜가 필요해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