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지수

S&P500, 나스닥, 다우 존스, 러셀2000




전일 미국 증시는 트럼프 대통령이 유럽연합(EU)에 50% 관세 부과 언급과 애플 등 해외 제조 스마트폰에 대한 관세 경고로 3대 지수와 러셀2000 모두 하락 마감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SNS인 트루스소셜을 통해 EU와의 무역 협상 부진을 이유로 6월부터 EU산 제품에 최대 5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하고, 애플의 아이폰 미국 내 생산 전환을 요구하며 미전환 시 25% 관세 부과 가능성을 언급

이에 따라 장 초반 증시는 급락하며 출발했으나,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이 트럼프 발언은 협상 전략이라고 발언하자 낙폭을 축소

또한, 베센트는 대형 은행의 미국 국채 메입을 제한하는 보완적 레버리지비율(SLR) 규제가 여름에 조정될 수 있으며, 스테이블코인으로 미국 국채에 대한 수요가 약 2조 달러까지 창출될 수 있다고 발언했고 신규주택판매도 양호하게 나타나자 국채 금리도 하락하며 증시 반등에 기여

그러나, 장 마감 직전 트럼프 대통령이 원자력 관련 행정명령에 서명한 뒤 EU에 6월부터 50% 관세를 부과할 것이며 협상용 발언이 아니라고 강조했고, 애플 뿐만 아니라 삼성전자 등 다른 스마트폰 제조업체도 25% 관세 적용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증시는 다시 낙폭을 확대하며 하락 마감

주요 뉴스 헤드라인




美대법 "트럼프, 파월 해임 못해"

트럼프 "아이폰 미국서 안만들면 최소 25% 관세"

트럼프 “EU와 협상 난항…내달부터 50% 관세 부과 제안”

[뉴욕개장] 트럼프의 EU·애플 관세 위협에 하락 출발

연준 고위 관계자 “연내 금리 인하 없을 수도”...트럼프 관세가 인플레 자극

미 재무 "EU 외 협상 빠르게 진행…유예 종료 전 합의 더 발표"

트럼프, 원자력 발전 독려하는 행정명령 서명...미 국유지에 원전 건립

“애플만 문제 아냐”…트럼프, 삼성에도 스마트폰 美생산압박(종합)

[뉴욕유가] 이란 핵협상 불확실성에 나흘만에 반등…WTI 0.5%↑

뉴욕증시, 'EU·애플 관세' 트럼프 위협에 하락 마감…나스닥 1%↓

S&P500 맵




애플(AAPL) 트럼프가 미국에서 판매하는 아이폰은 반드시 미국에서 생산해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최소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주장하자 급락

엔비디아(NVDA) 오펜하이머에서 AI 수요는 여전하다며 엔비디아에 시장수익률 상회 등급과 목표주가 175달러를 제시,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 CEO가 자신의 AI 기업 xAI 인프라 구축에 엔비디아 칩을 사용할 것이라는 발언 등 호재가 있었으나 트럼프의 관세 위협 발언에 하락

오클로(OKLO), 뉴스케일파워(SMR), 센트러스에너지(LEU) 등 원자력 관련 기업들은 트럼프가 신규 원자력 발전소 건설에 속도를 내도록 원자력규제위원회(NRC)를 구조조정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자 급등

인튜이트(INTU) 1분기 실적 발표에서 매출과 EPS가 예상치를 상회하고 연간 실적 전망치도 상향 조정, 산딥 아울라 CFO가 자사 제공 서비스 대부분은 제품 중심이 아니라 서비스 중심 기업들을 대상으로 하여 관세 영향을 일부 피해간다고 발언하자 급등

팔란티어(PLTR) 최근 AI 수요 확대와 정부 계약 증가로 고점을 경신한 가운데, 알렉스 카프 CEO 등 주요 경영진들의 자사주 매도 소식에도 소폭 상승

섹터 실적




트럼프의 아이폰 관세 발언에 기술주가 하락 주도, 이어서 소비 순환재,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순으로 약세

트럼프가 원자력 발전을 독려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자 유틸리티 섹터가 상승 주도, 이어서 원자재, 에너지 순으로 강세

미국 국채 시장




미국 국채 금리는 최근 감세안 하원 통과로 인한 재정 적자 우려를 선반영하며 하락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트럼프가 6월부터 유럽연합(EU)에 50%의 관세 부과, 애플 등 스마트폰 제조업체에 대해서도 25%의 관세를 경고하자 안전자산 수요 심리로 급락

이후 굴스비 시카고 연은 총재의 매파 발언에 단기채 금리를 중심으로 반등했으나, 장기채 금리는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이 대형 은행의 미국 국채 메입을 제한하는 보완적 레버리지비율(SLR) 규제가 여름에 조정될 수 있으며, 스테이블코인으로 미국 국채에 대한 수요가 약 2조 달러까지 창출될 수 있다고 발언하자 하락

환율




달러 지수는 하락하며 달러 약세

원화, 엔화 강세

시장 위험 지표




공포 탐욕 지수는 소폭 하락했으며 탐욕(Greed) 단계 유지

시장 변동성을 나타내는 VIX 지수는 급등하며 변동성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