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과 금융위원회 등에 따르면, 2024년 하반기부터 2025년 초까지 가계부채 증가세가 다시 빨라지고 있습니다.
특히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한 부동산 관련 대출이 증가하면서 총 부채 규모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2025년 현재 한국의 가계부채는 GDP 대비 약 105% 수준으로, OECD 국가 중 상위권에 속하는 위험 수준입니다.
이는 가계가 벌어들이는 소득보다 부채 증가 속도가 빠르다는 것을 의미하며, 소비 위축과 금융 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금융당국은 이를 억제하기 위해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규제를 강화하고, 고위험 대출에 대한 감독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비은행권(저축은행, 캐피탈 등)**을 통한 우회 대출이 늘어나면서 정책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평가도 나오고 있습니다.

또한 청년층과 자영업자를 중심으로 신용대출 및 카드론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어, 경기 둔화 시 연체율 상승 가능성도 우려됩니다.
특히 금리가 장기간 높은 수준을 유지하면, 취약 차주들의 상환 부담이 더욱 커질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구조적인 소득 증가와 부동산 시장 안정 없이는 가계부채 문제가 해결되기 어렵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부와 금융기관 모두 단기 대책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재정·금융 구조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