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25년 5월 22일(현지시간) 버지니아주 트럼프 내셔널 골프클럽에서 자신의 밈코인 ‘트럼프 코인’($TRUMP) 상위 보유자

200여 명을 초청해 비공개 만찬을 개최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미국 사회와 정치권에서 거센 부패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 만찬은 트럼프 코인을 가장 많이 보유한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상위 25명에게는 백악관 투어 기회도 제공됐습니다.

  • 행사에는 가상화폐 기업 트론(Tron)의 창립자 저스틴 선 등 해외 유명 인사도 참석했습니다.

    저스틴 선은 과거 미 증권거래위원회(SEC)로부터 사기 혐의로 고발된 바 있어, 그의 참석 역시 논란이 되었습니다.

  • 만찬 티켓을 얻기 위해 투자자들이 트럼프 코인에 투자한 금액은 총 1억 4,800만 달러(약 2,034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행사 직후 트럼프 밈코인 가격은 5% 이상 급락하는 등 시장 변동성도 나타났습니다,

  • 행사장 주변에는 약 100명의 시위대가 “가상화폐 부패를 중단하라”, “참석자 리스트를 공개하라”는 팻말을 들고 시위를 벌였습니다.

  • 민주당과 시민단체, 윤리 전문가들은 대통령직과 사적 자산을 연계한 전례 없는 행위라며 “백악관 역사상 최대 부패 스캔들”이라고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 특히 상위 투자자 중 상당수가 미국 내에서 이용이 금지된 해외 거래소를 통해 코인을 매수한 정황도 드러나, 법적·윤리적 논란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 미국 내에서는 트럼프가 사실상 ‘대통령 접견권’을 돈으로 판매한 것과 다름없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 백악관과 트럼프 측은 “이번 행사는 미국 국민을 위한 유리한 거래를 확보하려는 것이며, 트럼프 자신의 이익을 위함이 아니다”라고 해명했습니다.

  • 트럼프 대통령은 만찬에서 “나는 항상 나라를 내 사업보다 훨씬 더 우선시한다”며, 바이든 행정부가 가상화폐 혁신가들을 박해했다고 주장했습니다.

  • 이번 만찬은 대통령이 재임 중 사적 사업에 투자금을 유치한 초유의 사례로, ‘윤리적 금기선’을 넘었다는 비판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 민주당과 윤리 전문가들은 연방 뇌물수수법이나 헌법상 외국 이익 수수 금지 조항 위반 소지가 있다며 법무부에 조사를 촉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