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지수

S&P500, 나스닥, 다우 존스, 러셀2000




전일 미국 증시는 'Sell USA' 심화로 미국 국채 금리가 급등하면서 3대 지수와 러셀2000 모두 하락 마감

지난 주 무디스가 미국 신용등급을 강등한 이후, 트럼프 행정부의 감세안 추진이 미국의 재정 건전성 우려를 더욱 부각시키며 'Sell USA' 심리가 확산

일본에서도 하루 전 실시된 20년물 국채 입찰 부진과 일본은행(BOJ)의 국채 매입 축소 영향으로 장기채 금리가 상승하자 미국 국채 금리에 상승 압력으로 작용

장 초반 증시는 국채 금리 상승 여파로 전반적으로 하락 출발했으나, 구글의 개발자 컨퍼런스(I/O)에서 공개된 새로운 AI 기술들이 월가 애널리스트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자 기술주 상승을 주도하며 나스닥은 상승 전환

엔비디아의 젠슨황 CEO가 바이든 행정부의 대중 반도체 수출 규제가 중국에서의 매출 감소를 일으켰다면 트럼프의 정책은 긍정적이라고 주장하자 기대감을 높이며 반도체 섹터도 반등에 가세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감세 법안 의회 통과를 위해 공화당 강경파를 압박하면서 재정적자 확대 우려를 키웠고, 미국 20년물 국채 경매에서도 입찰 수요가 부진하게 나타나자 국채 금리가 더욱 급등하며 증시는 다시 하락 전환

또한, 백악관의 스리람 크리슈난 수석 AI 보좌관은 대중 반도체 수출 규제 방침에는 변화가 있을 수 없다고 강조하자 반도체 섹터도 약세로 전환

한편, 비트코인은 미중 무역 긴장 완화, 미국 인플레이션 둔화, 코인베이스의 S&P500 편입, 무디스의 미국 신용등 하향으로 비트코인의 대체재 부각 등의 호재로 전고점을 돌파하며 신고가 경신

주요 뉴스 헤드라인




일본 국채 '매수자 파업'…30·40년물 금리 사상 최고

ECB, ‘셀 아메리카’ 금융 시장 불안정 경고

미국 대형유통업체 타깃, 실적 전망 하향…트럼프 관세 후폭풍

[뉴욕개장] 하락 출발…트럼프 감세안에 대한 우려 커져

알파벳, ‘AI 리더’ 월가 호평 이어져…최대 34% 상승 여력 제시

美 20년물 국채경매 찬바람…"쌍둥이적자 우려에 투자의욕 바닥"

美30년물 금리 5% 재돌파…공화당 감세안 美재정적자 우려 증폭

[뉴욕유가] 美 원유재고 예상 밖 증가에 하락 반전…WTI 0.7%↓

'트럼프 감세' 재정적자 확대 우려에 美 주식·채권값 동반급락(종합)

비트코인 10만9700달러 돌파, 사상 최고…"6월말 30만달러" 예상도(종합)

S&P500 맵




알파벳(GOOG) 전일 개발자 컨퍼런스(I/O) 이후 에버코어ISI에서는 구글의 AI 기능이 기존 검색 서비스를 대체하기보다는 오히려 검색 이용률을 높이는 방식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목표가를 205달러로 제시했고, 모건스탠리에서도 알파벳이 방대한 사용자 기반과 유통 채널을 활용해 개인화된 검색 및 AI 에이전트 경험을 확대하고 있다고 분석하며 목표가를 185달러로 제시하는 등 월가 애널리스트들의 호평이 이어지자 상승

엔비디아(NVDA) 젠슨황 CEO가 바이든 행정부의 대중 반도체 수출 규제가 중국에서의 매출 감소를 일으켰다면 트럼프의 정책은 긍정적이라고 주장하자 기대감을 높이며 상승했으나, 백악관의 스리람 크리슈난 수석 AI 보좌관은 대중 반도체 수출 규제 방침에는 변화가 있을 수 없다고 강조하자 하락 전환

유나이티드헬스(UNH) 가디언지에서 유나이티드헬스가 병원 이송을 줄이기 위해 요양원에 비밀리에 보너스를 지급하고 메디케어 가입자 확보를 도왔다고 보도하자 하락

타깃(TGT) 1분기 실적 발표에서 소비 심리 위축과 트럼프 관세 불확실성 등으로 매출과 EPS 모두 부진했으며, 가이던스도 하향 조정하자 하락

섹터 실적




미국 국채 금리 급등으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섹터를 제외한 모든 섹터가 하락

특히 금리에 민감한 부동산, 헬스케어가 하락을 주도했으며, 이어서 소비 순환재, 금융, 산업재, 기술, 유틸리티, 에너지, 경기 방어주, 원자재 순으로 약세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는 알파벳의 상승으로 강보합 마감

미국 국채 시장




미국 국채 금리는 일본의 장기 국채 금리 상승 영향과 트럼프 대통령의 감세안 의회 통과 압박으로 Sell USA 심리가 확산되며 전반적으로 상승

특히, 미국 20년물 국채 입찰이 부진하게 나타나자 장기물을 중심으로 금리 급등

미국 20년물 국채 입찰은 응찰률 2.46배로 전달 2.63배, 이전 6회 평균치 2.57배 하회

환율




G7 재무장관 회의에서 각국 환율 절상 논의 가능성이 제기되자 달러 지수는 하락하며 달러 약세

5월 초 한국 기재부와 미 재무부가 외환시장에 대한 협의가 진행되었다는 소식에 원화 강세, 엔화도 강세

시장 위험 지표




공포 탐욕 지수는 하락했으며 탐욕(Greed) 단계 유지

시장 변동성을 나타내는 VIX 지수는 급등하며 변동성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