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16일 무디스는 108년 만에 미국의 신용등급을 강등하였습니다.

  • 기존 등급: Aaa (최고 등급)

  • 변경 등급: Aa1 (한 단계 하향)

  • 전망: ‘Stable(안정적)








🔍 무디스의 신용등급 강등 이유

1. 지속되는 재정적자와 국가 부채 증가

  • 미국은 2025 회계연도 기준으로 GDP 대비 재정적자 비율이 6.7%에 달함.

  • 국가 부채는 **2035년까지 GDP의 134%**에 이를 것으로 추산됨.

2. 정치적 교착 상태

  • 세금 감면 연장 논쟁, 부채 한도 협상 등에서 정책 불확실성이 장기화.

  • 무디스는 특히 재정 건전성 개선을 위한 정치적 의지 부족을 문제 삼음.

3. 지속적인 이자 부담 증가

  • 금리 인상과 함께 국채 이자 지출이 급증.

  • 이자 부담만으로도 연방 지출의 14% 이상을 차지할 전망.



📌 한창 상승 추세를 이어가던 미국증시는 신용등급 강등의 영향에 어떻게 반응할까요?

미국의 신용등급 강등은 주식시장에 단기적인 충격을 줄 수 있지만, 그 영향은 강등의 배경, 시장의 선반영 여부, 그리고 당시의 경제 상황에 따라 달라집니다.

과거에도 미국 신용등급 사례가 2회 있었습니다. 그럼 과거 사례의 주가는 어떻게 움직였을까요?

🔍 과거 신용등급 강등 사례와 주가 영향

1. 2011년 8월 – S&P의 미국 신용등급 강등 (AAA → AA+)

  • 배경: 미국의 부채 한도 협상 교착과 재정 적자 우려로 인해 S&P가 미국의 신용등급을 사상 처음으로 강등했습니다.

  • 다음 거래일인 8월 8일, S&P 500 지수는 6.7% 하락하였고, 다우 지수는 634포인트(5.6%) 하락했습니다.

  • 이후 한 달간 S&P 500은 약 15% 하락하며 단기적인 베어마켓에 진입했습니다.


2. 2023년 8월 – Fitch의 미국 신용등급 강등 (AAA → AA+)

  • 배경: 재정 적자 확대와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인해 Fitch가 미국의 신용등급을 강등했습니다.

  • S&P 500 지수는 약 10.3% 하락했으며, 이후 12개월 동안 약 37% 상승하여 회복세를 보였습니다.



3. 2025년 5월 – 무디스의 미국 신용등급 강등 (Aaa → Aa1)

  • 배경: 지속적인 재정 적자와 증가하는 국가 부채로 인해 무디스가 미국의 신용등급을 강등했습니다.

  • S&P 500, 다우, 나스닥 선물 지수는 0.5%~1% 하락했습니다.

  • 달러화는 약세를 보였고, 금 가격은 1.4% 상승했습니다.

  • 10년 만기 미국 국채 수익률은 4.48%로 상승하여 시장의 불안감을 반영했습니다.



🔍 선반영된 신용등급 강등, 단기 조정 핑계?

  • 과거 대비 영향 감소: 2011년과 2023년의 강등은 시장에 큰 충격을 주었지만, 이번 무디스의 강등은 이미 시장에 일부 반영되어 있었고, 투자자들은 미국의 경제 구조와 달러의 기축통화 지위에 대한 신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 단기적 변동성 가능성: 강등 직후에는 주식시장의 변동성이 증가할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미국의 경제 펀더멘털과 연준의 정책 대응에 따라 회복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투자 전략

  • 단기 투자자: 시장 변동성에 주의하며, 방어적인 포트폴리오 구성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장기 투자자: 미국 경제의 기초 체력이 견고하다는 점을 감안하여, 일시적인 조정을 매수 기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