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지수
S&P500, 나스닥, 다우 존스, 러셀2000
전일 미국 증시는 미국채 금리 상승으로 금리에 민감한 다우와 러셀2000이 소폭 하락한 가운데, 중동발 기술주 호재로 나스닥은 상승, S&P500은 강보합권에 머물며 혼조세로 마감
최근 하원 세법위원회에서 감세안을 추진한다는 소식으로 재정 건전성이 우려되는 가운데, 연준 위원들의 매파적 발언이 겹치면서 연준의 금리 인하 시점은 더욱 늦춰질 것이라는 전망이 확산
이런 가운데 CTA(Commodity Trading Advisor) 펀드의 미국채 매도세가 지속되면서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4.5%를 상회했고, 금리에 민감한 다우와 중소형주 중심의 러셀2000은 약세를 보였고, 특히 미 정부의 약가 인하 가이드라인 초안을 발표하면서 헬스케어 섹터가 하락을 주도
반면, 나스닥은 트럼프 대통령의 중동 순방 중 발표된 대규모 계약 소식에 힘입어 상승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 지역의 대규모 AI 투자 소식은 엔비디아, AMD, 슈퍼마이크로컴퓨터 등 인공지능 및 데이터센터 관련 기술주들의 강세를 이끌었고, 테슬라, 보잉 등 일부 개별 종목의 긍정적 소식도 기술주 중심의 상승을 견인
미 “화웨이 반도체, 세계 어디서도 쓰면 안 돼”
폭스콘, 예상 넘는 실적에도…관세영향에 올해 전망 하향
中, 대미 관세 125%→10% 시행…美, 소액 직구 30%까지 인하(종합2보)
"한·미 환율협의" 보도에…달러 약세·원화 강세
美, 카타르와 330조원 투자·방산 계약 체결…“보잉항공기 최대 210대 구매”
트럼프 '바이든표 AI칩 수출통제' 폐지
미국 원유 재고 급증, 국제유가 1% 이상 하락
뉴욕 증시, 미중 통상마찰 완화에도 혼조 마감…다우 0.21%↓ 나스닥 0.72%↑
AMD, 60억달러 자사주 매입·사우디와 AI 협력 발표에 주가 6%↑
[美특징주]슈퍼마이크로, 사우디 데이터볼트와 파트너십 체결…주가 ‘급등’
엔비디아(NVDA), AMD(AMD) 전일 사우디 AI 기업 휴메인의 GPU 1만 8천개 구입 소식에 이어서 로이터에서 미국이 아랍에미레이트(UAE)가 올해부터 27년까지 매년 GPU 칩 50만대를 수입할 수 있도록 계약을 체결했다고 보도하자 상승했으며 특히 AMD는 60억 달러 규모의 자사주 매입 프로그램까지 승인
슈퍼마이크로컴퓨터(SMCI) 사우디 데이터센터 기업 데이타볼트와 200억 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하자 급등
보잉(BA) 트럼프 대통령이 카타르가 보잉 항공기를 최대 210대 수입할 계획이라고 발표하자 상승
테슬라(TSLA) 테슬라 이사회가 일론 머스크 CEO에게 지급하기로 했다가 법원의 제동으로 무산된 거액의 보상안 복원을 포함해 새로운 보상 지급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는 소식, 이달 말부터 사이버캡과 세미 트럭 생산을 위한 중국산 부품을 미국으로 다시 들여올 예정이라는 소식에 상승
알파벳(GOOG) 웨이모가 1,200대 넘는 차량을 리콜하기로 결정했다는 소식이 있었으나, 최근 검색 홈페이지에 AI모드를 도입하는 실험에 들어갔으며 현재는 일부 사용자만 이용할 수 있도록 제한되었으나 다음 주 열리는 구글 개발자 행사에서 AI 검색 관련 새로운 기능 공개될 것이라는 기대감에 상승
트럼프의 중동 순방에서 투자 유치와 기술주들의 계약 체결 소식으로 빅테크 기업들이 상승을 주도하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기술 순으로 강세
미국채 금리 상승과 트럼프의 약가 인하 정책으로 헬스케어 섹터는 하락, 이어서 원자재, 부동산 순으로 약세
미국 국채 금리는 최근 미국 하원의 감세안 추진으로 인한 재정 건전성 우려와 CTA 펀드의 매도세, 그리고 연준의 매파적 발언 영향으로 상승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4.5%를 상회
필립 제퍼슨 연준 부의장 "현재 어느정도 긴축적인 금리 수준이 경제 상황 전개에 대응할 수 있는 절절한 수준"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 "현재 통화정책이 적절한 곳에 위치하고 어느정도 긴축적이며 여러 상황에 대응하기 바람직한 수준"
달러 지수는 상승하며 달러 강세
한-미 정부 관계저들이 지난 5일 밀라노에서 열린 회의에서 환율 정책을 논의했다는 소식에 원화 강세, 엔화도 강세
공포 탐욕 지수는 소폭 상승했으며 탐욕(Greed) 단계 유지
시장 변동성을 나타내는 VIX 지수는 상승하며 변동성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