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지수

S&P500, 나스닥, 다우 존스, 러셀2000




전일 미국 증시는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시장 예상치를 하회하며 인플레이션 우려가 다소 완화된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의 중동 순방에서 발표된 사우디의 대규모 대미 투자 소식이 기술주 강세를 견인하며 나스닥, S&P500, 러셀2000이 상승하고, 유나이티드헬스의 급락 여파로 다우는 하락하며 혼조세로 마감

개장 전 발표된 4월 CPI는 헤드라인과 근원 수치 모두 전월 대비 시장 예상치를 하회하면서 물가 압력이 둔화되는 흐름을 보였으나, 관세 정책의 실질적 영향이 반영되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하다는 해석이 이어지면서 국채 금리와 증시에 미친 영향은 제한적

장 초반 증시는 미·중 관세 인하 재료 소멸에도 안정적인 CPI를 반영하며 나스닥과 S&P500이 강보합권에서 움직인 반면, 유나이티드헬스가 CEO 교체 및 실적 가이던스 철회 소식에 급락하면서 다우지수를 끌어내리며 출발

장중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사우디-미국 투자 포럼에서 사우디로부터 6,000억 달러(약 850조 원) 규모의 대미 투자를 유치했으며, 향후 총 1조 달러까지 확대될 수 있다고 발표하면서 시장의 관심이 집중됨

특히, 엔비디아는 사우디 AI 데이터센터에 1.8만 개의 GPU를 공급하기로 했고,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는 사우디 항공기 및 선박에 스타링크를 제공하는 계약을 체결했으며, 빈살만 왕세자에게 옵티머스 로봇을 시연하고 구체적인 시기는 언급하지 않았으나 사우디 내 로보택시 도입 계획을 발표하는 등 기술주 중심의 투자 기대가 강화되며 나스닥 상승세를 견인

한편, 미국 하원 세입위원회는 향후 10년간 최소 4조 9,000억 달러에 달하는 대규모 감세안 초안을 발표

이번 법안은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 도입한 감세 조치의 연장과 함께, 팁 소득, 사회보장 수령액 초과근무 수당, 자동차 대출 이자 등에 대한 신규 세금 공제를 포함하고 있으며, 보다 광범위한 세제 혜택이 담긴 것으로 평가됨

다만, 재원 조달 방안의 상당 부분이 서민과 취약계층 대상 복지 예산 삭감에서 비롯된다는 점에서 민주당과 공화당 일부 의원들의 반발도 제기되고 있으며, 해당 법안은 메모리얼 데이(26일) 이전 입법을 목표로 추진 중

주요 뉴스 헤드라인




美 4월 소비자물가 4년만에 최저…'관세' 5월부터 본격 반영예상(종합)

美특징주]유나이티드헬스, CEO 교체·연간 가이던스 철회·소식에 개장전↓

[뉴욕개장] 4월 물가지표 발표 후 혼조세…다우 0.41%↓

트럼프 "사우디 대미 투자 1조 달러로 늘려"...사우디와 전략적경제 동반자 협정

엔비디아·AMD, 사우디 AI 데이터센터에 반도체 공급

머스크 “사우디 항공·해상 운송에 스타링크 제공”

"이제 관세에서 감세로"...트럼프 '크고 아름다운' 감세안 윤곽

[뉴욕유가] 트럼프 이란 압박까지 거들며 4일째 상승…WTI, 2.8%↑

뉴욕증시, 관세휴전에 기술주 강세…S&P500 연간수익률 플러스로(종합)

美 코인베이스 주가 24% 폭등…S&P500 지수 편입 효과

S&P500 맵




엔비디아(NVDA) 사우디 국부펀드가 소유한 AI 기업 휴메인에 자사의 최신 AI 칩인 GB300 블랙웰 1만 8천개를 공급한다는 소식에 상승

테슬라(TSLA) 일론 머스크 CEO가 소유한 스페이스X가 사우디 항공기 및 선박에 스타링크를 제공하는 계약을 체결했으며, 빈살만 왕세자에게 옵티머스 로봇을 시연했고, 구체적인 시기는 언급하지 않았으나 사우디 내 로보택시 도입 계획을 발표하자 상승

유나이티드헬스(UNH) 앤드류 위티 CEO가 사임하고 2006년부터 2017년까지 CEO로 재직했던 스티븐 J. 헴슬리가 CEO로 복귀한다는 소식, 예상보다 높은 의료비 지출을 이유로 연간 가이던스를 철회했다는 소식에 급락

마이크로소프트(MSFT) 기술주 랠리에도 전체 인력에 3%를 감원한다는 소식에 약보합 마감

코인베이스(COIN) S&P500 지수에 편딥되었다는 소식에 급등

섹터 실적




사우디-미국 투자 포럼에서 빅테크 기업들의 투자 유치로 기술주가 상승을 주도했고, 이어서 에너지, 소비 순환재,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산업재, 금융 순으로 강세

국채 금리 상승과 유나이티드헬스의 급락으로 헬스케어 섹터가 크게 하락했고, 이어서 부동산, 경기 방어주 순으로 약세

미국 국채 시장




미국 국채 금리는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보다 낮게 발표되면서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되었으나, 아직 본격적인 관세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는 해석에 단기채 금리가 소폭 하락하며 영향은 제한적

미국 하원에서 대규모 감세안 초안을 발표하면서 추가 국채 발행 우려가 커지자 장기채를 중심으로 금리 상승

미국 4월 CPI는 2.3%로 예상치 하회, 이전 대비 감소

미국 4월 근원 CPI는 2.8%로 예상치 부합, 이전 대비 변동 없음

환율




달러 지수는 하락하며 달러 약세

엔화 강세, 원화 약세

시장 위험 지표




공포 탐욕 지수는 상승했으며 탐욕(Greed) 단계 유지

시장 변동성을 나타내는 VIX 지수는 소폭 하락하며 변동성 완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