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이 상대국에 부과했던 고율 관세를 115%포인트씩 인하하고 90일간의 휴전을 선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번 주말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통화할 수도 있다며 무역 협상 진전 가능성
미국과 중국은 12일(현지 시간) 10~11일 이틀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무역 협상을 벌인 끝에 이 같은 내용이 담긴 공동성명을 발표
미중 무역 협상 내용
미국은 4월 2일 이후 중국 상품에 부과한 추가 관세 125%(펜타닐 관세 20% 제외) 중 24% 부과를 90일 동안 유예하고 91%는 아예 취소
미국이 2월과 3월 중국 펜타닐을 문제 삼아 10%씩 20%의 관세를 매긴 것을 더하면 향후 90일간 미국의 대중 관세는 30%가 되는 셈(기본관세(10%)에 올 초부터 매기고 있는 이른바 ‘펜타닐 관세(10+10%)’를 더한 것)
중국 역시 같은 기간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추가 관세를 125%에서 10%로 내린다고 확인
양국 모두 관세를 115%포인트씩 하향 조정
다만 자동차·철강 등 품목 관세는 이번 협상에 포함되지 않았음
트럼프 대통령 : "중국은 미국 기업에 시장을 개방할 것을 약속했고, 오랫동안 문제였던 펜타닐 수출 중단에 동의했다". "중국과 관계는 매우 좋고 이번 주말쯤 시진핑 국가주석과 통화할 수도 있다"
90일 일시 합의, 전쟁 재발 가능성 상존
관세율이 ‘50~60% 정도까지만 낮아질 것’이라는 예상보다 실제 인하 폭이 더 컸고 중국에서도 희토류 수출 통제와 보잉사 항공기 인도 중단 등 미국의 반발이 컸던 비관세 조치에서 물러서기로 하는 등 양국이 ‘실질적인 합의를 이뤘다’는 분석
다만 양국이 인하된 관세율을 90일간 유지하는 ‘일시 휴전’인 만큼 향후 협상 여부에 따라 무역 전쟁이 재발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우려
관세 합의로 미 달러, 국채금리 급등, 금값 하락
미국과 중국이 12일(현지시각) 고율의 상호관세를 90일 동안 대폭 인하하기로 합의하자 한동안 외면받았던 ‘바이 아메리카(Buy America)’ 움직임이 재확산하며 미국 달러화 가치와 주가가 동반 급등
다만 미국과 중국의 무역 전쟁 완화 움직임에 경기 침체 우려가 줄면서 미국 국채 가격은 큰 폭으로 하락(수익률 상승)
<시사점>
미국과 중국이 관세전쟁을 90일간 일시 휴전하면서 빠른 타결을 위한 실마리를 풀기로 했습니다. 과거 트럼프 1기 시 중국과의 관세합의에 20개월이 걸렸지만 이번에는 트럼프가 90일 이내에 시진핑과 최종합의에 이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트럼트는 임기 4년으로 남은 시간이 많지 않음). 트럼프 입장에서는 중국과의 합의가 늦어질 경우 트럼프의 관세정책이 경기침체란 큰 암초를 만나 반트럼프 전선이 확대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미중 일시합의로 달러가치가 크게 상승했으며, 경기침체 완화로 금값이 하락했으며, 아이러니하게 채권값이 하락(채권금리 상승)했습니다. 그동안 관세정책으로 채권금리가 상승한 것을 생각하면 이번 미중 일시합의로 채권금리가 하락해야 하는데 오히려 오르고 있는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입니다. 먼저 트럼프의 관세정책은 물가를 올리기 때문에 기대인플레이션이 상승합니다. 그런데 관세정책이 고용 등 경기를 침체시키기 때문에 이는 채권금리 하락 요인입니다. 강도높은 관세정책으로 채권금리 상승요인과 하락요인이 팽팽하게 맞서다가 미중 관세합의로 극단적 경기침체 요인이 완화되었습니다. 말하자면 '채권금리 상승요인 > 채권금리 하락 요인'이 된 것이죠. 이에 따라 관세 일시합의 이후 미국의 채권금리가 상승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금값은 관세 일시합의로 위험자산 선호심리가 커져 안전자산인 금값 하락으로 이어졌습니다.
이번 관세 유예로 미국 연준의 금리인하는 더욱 어려워졌습니다.
<관련 기사>
https://n.news.naver.com/article/newspaper/011/0004484337?date=2025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