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는 대한민국 40세 부자 기준이라는데,

내 나이가 40대 초반이라 그런지

굉장히 관심이 가는 글이네요.

그런데 OK 저축은행 직원분이

현실감각이 약간 떨어지는거 같습니다만,






일단 순자산 기준인건 좋고,

순자산 10억 이상이 부자느낌이다라...

이 말인 즉슨,

서울 국평 10억 이상 아파트를

무대출로 보유중이거나,

또는 아파트를 가지고 있으면서

주담대 받아 주식투자 중인 사람들이 해당될거 같은데,

이런분들 물론 훌륭하지만

40세 순자산 10억은 부자는 아니다!

그럼 40대 부자의 기준은?

위 표를 보고 알수 있듯이

40대에 순자산 10억이면 상위 10%에 해당합니다.

상위 10%면 부자아닌가요?

라고 반문하실 수 있으나,

제 기준으로 부자의 정의는

노동을 하지 않아도 자산이 늘어나는 구조

갖춘 이입니다.

그럴려면

실거주(무대출) + 투자자산(20억 원)

갖춰야 된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투자자산이 부동산이건 주식이건

상관없이 20억 원의 가치를 가지고 있다면

▶임대소득 : 연 7천만원(3~4% 가정)

▶배당소득: 연 7천만원(SCHD 투자 가정)

위와 같은 자산에 셋팅할 수 있고

이는 노동없이 월 500만원 안정적인 수익구조가

갖추어지는겁니다.


내가 순자산 20억원을 이미 찍었음에도

계속 투자하고

회사를 다니고 하는 이유는

아직 '부자'의 반열에 오르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금융자산 20억 원 셋팅이 될 때까지

쉬지 않고 지속적으로 투자할 생각이며,

내가 부자가 되면(내 기준)

회사를 계속 다닐지 때려칠지 여부를

아주 행복하게 고민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