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자본주의 밸런스 톨라니 입니다.
금일 15일 국내 주시시장은 코스피, 코스닥 모두 상승마감하였습니다. 그동안 트럼프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 중국과의 관세정책으로 국내 증시도 변동성이 컸는데요. 트럼프 대통령의 90일 관세 유예, 자동차 관세에 대한 유연한 정책 발표가 국내 주식시장과 원달러 환율의 안정세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이에 '코스피, 코스닥 미국 관세 전쟁 심화 둔화로 안정세, 원달러 환율 상승 등 국내 금융시장 동향' 관련하여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01. 금일 국내 주식시장 (코스피, 코스닥) 동향
● 코스피는 전일 대비 +0.88% 상승한 2,477.41에 장을 마감하였습니다. 코스닥는 전 거래일 대비 +0.41% 오르며 14일 거래만에 710선을 회복한 711.92 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 코스피 시가 총액 상위 종목들은 바이오 종목을 제외한 대부분 상승 마감하였으며, 코스닥 시가 총액 상위종목을 대부분 하락 마감하였습니다. 코스닥의 경우 시가 총액 상위 종목들이 대부분 바이오 종목들로 구성되어 있어, 대부분 코스닥 종목이 하락하였네요.
● 이날 특히 현대차와 기아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 관련하여 관세 예외 및 유연성에 대해 시사하면서 전일 대비 각각 +4.29%, +3.37% 상승하면서 거래를 마쳤습니다.
● 트럼프 대통령은 '일시적 관세 면제를 검토하는 특정 제품 또는 물품이 있느냐' 라는 기자의 질문에 "자동차 기업은 생산 설비를 갖추는 시간이 있기에, 자동차 회사를 돕기 위한 조치를 고려 중"이라고 답변하였습니다.
● 코스피 거래량 상위 종목들은 선거관련 테마주, KODEX 200, KODEX 레버리지, KODEX 인버스 종목들의 거래량이 많았으며, 코스닥 거래 상위 종목들은 로봇 관련 종목, 우크라이나 재건 주 관련 종목들이 거래량이 실리면서 상승과 하락을 하였네요.
● 최근 국내 주식시장은 선거 관련 테마주들의 변동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며칠 사이 50~100% 이상의 큰 폭의 상승과 하락을 반독하면서 투자자들의 기대와 탐욕, 그리고 두려움과 공포를 모두 경험하고 있는데요.
● 일반 투자자, 주식에 대한 경험이 부족한 투자자분들은 이런 종목들은 피하고, 우량한 기업, 성장성 및 미래 가치가 높은 기업, 그리고 가장 중요한 안정성이 어느 정도 확보된 기업에 투자하면서 시간의 자신의 편으로 만드는 투자가, 자신의 재산을 지키는 가장 현명한 방법이라 생각이 드네요.
02. 원달러 환율 및 유가 동향

● 그동안 하락(원화강세, 달러 약세)했던 원달러 환율이 바닥을 확인했는지, 금일 15일 22:02 시 기준 전일 대비 +0.28% 상승한 1달러 당 1,426.00원에 거래가 되고 있습니다. 장초반 환율은 2.1원 내린 1,422.0 원에 출발하였지만, 오후 들면서 상승세로 전환하였습니다.
● 이는 트럼프 관세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일부 진정되고, 불확실성이 조금은 동맹국들의 유연한 일시 유예 및 면제 관세적용 시사가 다시금 달러에 대한 신뢰를 조금씩 회복되면서, 원달러 환율도 이에 따라 상승 전환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 하지만 일각에서는 트럼프 관세정책이 일시 유예 및 면제가 적용 되면서 시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환율은 확실한 방향성이 없이 갈팡질팡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 또한 원달러 환율이 안정되면서 하락하기 위해서는 국내 경제가 활성화 되고, 대통령 부재에 대한 정치적 불확실성이 빠르게 해소되어야 합니다.
● 서부텍사스유 4월 14일 기준 전일대비 0.04% 소폭 오르며 배럴당 61.53에 거래가 되었는데요. 4월 8일 배럴당 60달러 아래로 떨어진 이후 소폭 상승하기 하였습니다.
● 다만 최근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종결에 대한 협상이 조금씩 진정되고 있고, 중동 및 미국의 세일가스 등 석유 생산량을 증가 움직임으로 인해 국제 유가 시장은 한동안 60달러 선 위 아래에서 움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지금까지 '코스피, 코스닥 미국 관세 전쟁 심화 둔화로 안정세, 원달러 환율 상승 등 국내 금융시장 동향' 관련하여 알아보았는데요.
조금씩 안정을 찾아가는 주식 시장 및 원달러 환율, 이제는 정치적 리스크까지 빠르게 진정되면서 국내 금융시장에 훈풀이 불어 주었으면 하네요. 금융시장의 훈풍이 지금 어려운 국내 경기를 회복시키고, 가계 경제에 큰 보탬이 되어 주길 바래 봅니다.
여러분들의 성공 투자 여정을 응원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