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유연성

- 트럼프, 전자제품 이어 '자동차 부품' 관세 면제 시사

- "美서 車부품 만들려면 시간 필요…도울 방안 검토 중"

- 트럼프 "최근 팀 쿡도 도왔다…나는 매우 유연하다"

- 코너 몰린 트럼프…오락가락 관세 정책에 불확실성 확대

- 트럼프 관세 변경은 '애플 구하기'…대중관세에 위기

- 中 생산 비중 높은 애플, 고율 관세에 기업 존폐 위태

- 트럼프 "아이폰 관세에 유연성" 언급까지…애플 구하기

- 美 아이폰 가격 상승 논란 의식…관세로 경쟁서 불리

- 모건스탠리 추산, 아이폰 87% 中생산…아이패드 80%

- 백악관 "10개국 이상 협상 제안…빠르게 진행 중"

- "美, 韓·日·인도·영국·호주와 무역협상 우선 추진"

- "베센트 美재무, 최우선 목표 5개국 당국자들 접촉"

트럼프 유연성 유연한 사람이다 뉴욕증시가 오르는 누구를 위해서 유연한가?

협상의 기술 협상의 원칙 미국을 위한 유연성입니다. 애플이 다시 회복하고 있고

삼성전자가 어부지리 아닙니다.


트럼프 관세 특혜 기업에서 한국 반도체 회사는 제외되죠.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제외 된 수혜주는 아니에요

자동차 수혜주 전부 미국 회사로 보입니다. 미국에서 현대 조지아공장 내연차가 아님 현대차 기아차 모두 악재입니다.

관세는 큰 두가지틀 인데요. 원래 세금관련해서는 미국의회가 하지만

미국 대통령 두가지법 IEEPA(경제비상) 및 무역확장법 232조(국가안보)등이 있을시 권한이 있어요


이런 경우 미국 우선주의 관세로 우리나라 불이익 폭탄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시진핑 희토류

- "中, 4일부터 희토류 수출 중단"…美 '급소' 때렸다

- 중 희토류 금속 6종 및 희토류 자석 수출 사실상 중단

- 새 규제시스템 마련 때까지…'특별허가' 받아야만 반출

- 美 재고 보유 적어…자동차·방산 등 산업계 타격 우려

- 희토류, 전기차·드론·로봇·미사일 등 첨단 기술에 필수

- 세계 정제 희토류 약 90% 생산하는 中…독점적 공급자

- NYT "美 특정 기업에 희토류 공급 영구차단될 수도"

- 美, 中의 희토류 수출 통제에 "모든 옵션 검토 중"

- 2010년 희토류 금수 조치 겪었던 日…1년 재고 비축

- 시진핑, 지난 트럼프 1기 때 원자재 통제권 행사 시사

- 등샤오핑 "중동에 석유가 있다면, 중국엔 희토류 있다"

시진핑 희토류 수출 통제 우리도 영향이 있습니다. 미국 언론 보도에서 나오고 있어요.

중국 정부는 공식적으로 하지 않았지만 17개 중 6개 수출 중단을 하고 있다고 나옵니다.


중동에는 석유 중국에는 희토류를 육성 한다고 하죠

전세계 골고루 공평한 광물 희토류이지만 채굴비용과 환경파괴가 많아요

미국도 희토류 있지만 15년 전에 공해때문에 생산안하죠. 희토류 캐내는 비용과 관경때문에 그래요

호주는 희토류를 생산하긴 하니다. 협상의 여지가 있어요.


알래스카 LNG

- 한미 상호관세 협상 시작…알래스카 LNG 첫 테이블에

- 한 대행 "하루이틀 내 알래스카 LNG 관련 화상회의"

- 트럼프 대통령 숙원인 알래스카 LNG…韓·日에 러브콜

- 에너지 수입선 다변화·가스 운송거리 단축 등 이점

- 혹한 기후로 막대한 사업비용 등 사업성 리스크 우려

- "카타르 수입분 미국산 전환 시 관세 20% 아래로"

- LNG 첫 단추로 조선업 협력·무역균형 등 논의 본격화

- 알래스카 LNG, '美 관세' 실효성 있는 카드 될까

알래스카 LNG 한덕수 권한대행 협상을 다양한 관점에서 봐야 합니다.



더 파격적인 조건을 제시하고 미국 생각보다 더 좋은 조건을 줬다고 하죠

특히 한국과 일본 놀라운 제안을 했다고 합니다.




방위비를 한국이 다 낼 것인가? 알레스카 가스관 20년간 개발을 못한

엑슨 모빌 세계최대 석유회사 알레스카_LNG 아무도 하지 않으니까 통상압력

한국와서 같이 개발하자는 것입니다.

기술이 계속 발전하니 엑슨모빌이 못한 것 임기에 덜컥 큰 것을 좋다가 소탐대실 협상 지켜봐야 합니다.


선박 조선업

- 트럼프, 美 조선업 부흥 행정명령 서명…韓 수혜 볼까?

- "조선에 많은 돈 쓸 것"…韓 포함 동맹과 협력 가능성

- 중국의 해양 패권 공격하기 위한 조사도 명시…中 견제

- 1920년 존슨법, 미국 내 운송 선박 美서 건조해야

- 존슨법 영향, 美 조선업체들 해외 업체와 경쟁하지 않아

- 2023년 기준 세계 선박 건조량 중 미국산 0.13%

선박 조선업 김칫국물 너무 많이 마시는 조심스럽죠

미국이 선박 존스법이 아주 중요합니다.


미국 존스법 조선쪽에서 한국에서 협상을 계속 하려고 하죠!



미국에서만 만들어야 하는 생산단가를 50%를 낮추려고 합니다.

미국에와서 생산해 미국기지에서 만들 것이 협상의 조건이 있을 수 있어요

워낙 불경기 세계 조선 수주를 싹쓸이 하는 현대 HD 계약 오바 초과하고 있는 상황인데요

계약을 파기하면 비용이 들어갈 수 있습니다.

세상에 공짜 점심 없어요. 협상을 잘 지켜봐야 합니다.




출처 : sbs biz

#김대호박사의오늘의키워드 #sbsbiz채널 #경제흐름읽기 #시간은소중히쓰자 #주식투자 #부동산투자 #진인사대천명 #트럼프유연성 #시진핑희토류 #알래스카LNG #선박조선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