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미국주식을 4년간 투자하고

존버한 결과

한 직장인 커뮤니티에

화제가 된 글이 올라왔는데요.

글쓴이는 국장을 손절치고

미장을 4년 존버했기에 달성한

결과라고 말했습니다.

어떤 미국주식에 투자를 했고

수익률은 어느정도인지

자세히 살펴보시죠





많은 투자자들이 주식을 시작한

바로 코로나 펜데믹 시기인

2020년~2021년에 미국주식을

시작한 글쓴이.

2022년 하락장을 겪으며

고통의 1년을 보냈지만

그 시기를 추매를 하면서

버틴 결과

2.

2025년이 된 지금 어떻게 되었을까요?



주력 종목이

팔란티어, 오클로, 엔비디아, 뉴스케일파워, 아마존

가장 핫한한 기업들의 주식은

다 가지고 있었네요.

소형원자로 테마주인 SMR을

미리 알고 투자했다는 사실이 놀랍네요.

심지어 저랑 종목이 겹치는 아마존도

500주나 보유중이네요.

(전 300주 밖에 없는데;;;)

주식들의 총 평가액은 자그마치

25억 원?


더 놀라운 사실은

글쓴이의 인증이 이게 다가 아니라는거!

3.



구글, 사운드하운드, 나스닥100 지수 투자까지...

이정도면 미국 헷지펀드 수준인데;;;

그나마 구글 수량은 저랑 엇비슷하네요.

이번 기업들의 평가금액은 약 5억 원

위 평가금액 25억 원까지 더하면

총 30억 원?


놀라울따름입니다.

4.

이제 댓글들 반응을 살펴볼까요?



그도 그럴것이

30억 원이라는 투자 규모를 떠나

뉴스케일파워, 사운드 하운드 등

21~22년 사이에 한국인에게는 다소

생소했던 기업을 미리 선점투자를 했다는게

쉽게 믿기가 어렵네요.

하지만

글쓴이는 증권사

스샷으로 계좌인증을 해줍니다.




글쓴이는 이제 자기 계좌를

보는게 무섭다는데....

수익률이 676%에

평가손익만 20억 원이 넘으니

무서울만 하겠네요....


4년이라는 시간은

절대 길지 않습니다.

남들보다 오래 투자한것도 아니고

레버리지 상품을 활용한것도 아닙니다.

다만 8억 원이 넘는

제법 큰 규모의 돈을 투자한것

(총평가액 30억 - 평가손익금 22억)

투자수익률이 탁월한 개별기업을

선별 수 있는 안목이 있다는것이

이러한 훌륭한 투자성과의 결과를

이룰 수 있는 주요인이었네요.

글쓴이의 평가금액이 앞으로

얼마나 더 올라갈지 궁금해지네요.

그나저나 저도 하루빨리

제 계좌를 보며 무서워할(?) 날이 왔으면

좋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