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간 미국 증시 시황 체크
나스닥 |
16,724.46 / +337.15(+2.0%) |
S&P 500 |
5,363.36 / +95.31(+1.8%) |
다우존스 |
40,212.71 / +619.05(+1.5%) |
원/달러 환율 |
1,428.00원 / -30.50원(-2.0%) |
공포 탐욕 지수 |
13p / +5p(극도의 공포 구간)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8188678
→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시장의 신뢰를 심각하게 흔들고 있습니다. 채권과 달러는 급락하고 금값은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습니다. 미국 자산을 회피하려는 흐름이 본격화되면서 안전자산 선호가 금으로 집중되는 모습인데요. 특히 금은 불과 한 달 만에 25%나 상승하며 글로벌 투자자들의 불안 심리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미국이 기축통화국으로서의 신뢰를 지키지 못한다면 글로벌 금융질서에도 구조적인 충격이 올 수 있다는 점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할 상황입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475131
→ 트럼프 대통령이 국가별 상호관세의 하한선을 '10%'로 못 박았습니다. 사실상 협상의 여지를 최소화한 셈인데요. 유예 조치 이후에도 여전히 기본 관세율이 유지되면서 글로벌 기업들의 불확실성은 줄어들지 않고 있습니다. 정책의 일관성이 부족한 상황에서 기업들은 비용 구조 예측이 어려워지고 그에 따른 투자 위축 가능성도 우려됩니다. 90일 유예라는 시간 안에 실질적인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다시 시장에 큰 충격이 닥칠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해선 안 될 것입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986080
→ 미중 무역갈등이 최고조로 치닫는 가운데 연준의 시장 개입 가능성이 부각되며 증시는 반등에 성공했습니다. 하지만 근본적인 불확실성은 여전한 상황인데요. 특히 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가 연준 개입을 정당화할 수준까지 진행되는 것 자체가 건강한 경제 환경이라고 보긴 어렵습니다. 연준이 과거처럼 시장을 방어한다면 일시적인 안정은 가능하겠지만 장기적으로는 정책 신뢰도 저하와 부작용이 뒤따를 수 있다는 점을 반드시 염두에 둬야 합니다.
https://www.g-enews.com/article/Global-Biz/2025/04/202504120809299543bc914ac71_1
→ 금값이 사상 최고치를 다시 경신하며 온스당 3200달러를 돌파했습니다. 반면 달러는 3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고 미국 국채도 매도세가 거세게 이어지고 있는데요. 이는 글로벌 투자자들이 미국 자산에 대한 신뢰를 거두고 있다는 강력한 신호로 보입니다. 특히 금 ETF로의 유입, 중앙은행들의 매수 확대 등 구조적인 수요가 뒷받침되고 있다는 점에서 단기적인 피난처 이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미국의 정책 신뢰 회복 없이는 자산 선호 구조에 큰 변화가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https://www.g-enews.com/article/Global-Biz/2025/04/2025041105571149183bc914ac71_1
→ 달러화가 스위스 프랑 대비 10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통화 흐름의 문제가 아니라 미국 정책에 대한 전반적인 불신에서 비롯된 결과로 보입니다. 특히 관세 이슈가 다시 부각되면서 투자자들은 리스크 헤지 수단으로 스위스 프랑과 엔화를 선택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달러가 누려왔던 기축통화로서의 지위가 흔들리는 이 상황 미국 입장에서도 결코 가볍게 넘길 수 없는 경고입니다. 외환 시장의 흐름은 실물 경제에도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 변화의 방향성에 주목해야 할 시점입니다.
트럼프발 관세 정책이 금융시장을 뒤흔들고 있습니다. 금값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안전자산 선호가 극대화되고 있고 반대로 미국 채권과 달러는 급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관세의 '하한선'이 고정되고, 중국을 제외한 국가와의 협상이 유예된 상황에서 불확실성이 더해지고 있습니다. 연준의 개입 시사로 일시적인 반등은 있었지만 본질적인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습니다. 투자자들이 미국 자산을 회피하고 있다는 점은 미국 경제와 금융 시스템의 신뢰 회복이 시급하다는 경고일지도 모릅니다. 향후 관세 협상의 성과 여부에 따라 시장의 방향성도 극명하게 갈릴 것으로 보입니다.
이상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재투로였습니다.
오늘도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이 포스팅은 매매 및 종목을 추전하는 글이 아니며,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또한, 투자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귀속됨을 기억해 주세요~!
이 글을 읽어주시는 모든 분들의 성투를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