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지수

S&P500, 나스닥, 다우 존스, 러셀2000




전일 미국 증시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협상 진전 발언과 반발 매수세에 힘입어 큰 폭으로 상승하다가 백악관이 중국에 대해 총 104%에 달하는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하면서 하락 전환하며 3대 지수와 러셀2000 모두 하락 마감

장 초반 증시는 트럼프 행정부가 70여 개 국가와 관세 협상을 진행하고 있으며, 베센트 미 재무장관은 트럼프가 협상을 주도하고 있고 성공적으로 합의하면 관세 부담이 줄어들 것이라고 주장하자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상승 출발

또한, 트럼프는 한국 대통령 권한대행과 협상을 했고 한국 대표단이 미국으로 향하고 있으며 좋은 협상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고, 케빈 헤셋 국가경제 위원장도 동맹 국가인 한국과 일본을 우선 협상 대상으로 삼고 있다고 전한 것도 긍정적으로 작용

그러나 트럼프는 중국이 보복 관세를 철회하지 않은 것에 대하여 중국에 추가 50%의 관세 부과하는 행정 명령에 서명함

이에 따라 중국에 총 104%의 관세가 부과되자 무역 분쟁 우려가 확대되며 증시는 상승폭을 반납하고 하락 전환

특히 중국 매출 비중이 높은 애플, 테슬라가 하락을 주도했고 모든 업종에서 하락세

한편, 국채 금리는 단기 금리가 하락한 반면 장기 금리는 상승하면서 안전자산으로서의 미국채 지위가 흔들리고, 보복 관세로 인한 물가 상방 압력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임

주요 뉴스 헤드라인




美 상호 관세 D-1…세계 70개국, 트럼프 행정부와 협상 총력

美재무장관 "몇몇 국가의 경우 매우 빠르게 관세협정 체결"(종합)

해셋 국가경제위원장 "트럼프, 한일 협상 우선순위 두고 있어..매우 긍정적"

트럼프 "한국과 관세·조선업·LNG 구매·방위비 지불 논의"

미, 암호화폐 범죄 수사 대거 축소로 방향 전환...거래소, 서비스 업체에 면죄부

美, 중국에 50% 재보복 관세 9일 강행방침…"도합 104%"

美 반도체기업 마이크론, 일부 제품에 '관세' 요금 부과키로

[국제유가] 中 50% 추가관세에 나흘째 급락

뉴욕증시, 힘빠진 관세 낙관론에 다시 투매…나스닥 2%↓(종합)

美, 대 중국 관세 104%에 애플 또 5% 하락…시총 2위로 털썩

S&P500 맵




애플(AAPL) 최근 하락이 과도하고 관세 발효로 가격이 오르기 전 아이폰을 사고 있다는 보도에 상승하고 있었으나, 미국이 중국에 104%의 관세를 부과하자 중국 의존도가 높은 아이폰 판매에 타격이 갈 것이라는 우려로 급락

테슬라(TSLA) 관세 협상 기대감으로 상승했다가 미국이 중국에 104%의 관세를 부과했고, 모델 Y가 미국 출시 4일 만에 재고가 발생했다는 소식이 수요 부진 신호로 여겨지며 하락

유나이티드헬스(UNH), CVS헬스(CVS) 등 건강보험사들은 미국 연방정부가 메디케어 보험료 지급률을 기존 2.23%보다 두 배가량 높은 5.06%로 인상한다고 발표하자 상승

마이크론(MU) 로이터에서 마이크론이 4/9부터 일부 제품에 관세에 따른 추가 요금을 부과한다는 보도와 함께 미국의 대중국 관세 104% 부과 소식에 하락

록히드마틴(LMT), 제너럴다이나믹(GD) 등 방산 기업들은 미국 국방비가 역대 최초로 1조 달러를 넘어설 것이라는 소식에 상승

섹터 실적




트럼프가 중국에 관세 50%를 추가하여 총 104%의 관세를 부과한다는 소식에 모든 섹터가 하락

특히 중국 영향이 높은 에너지, 원자재가 하락을 주도했으며 소비 순환재, 부동산, 기술, 헬스케어, 경기 방어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산업재, 금융, 유틸리티 순으로 약세

미국 국채 시장




미국 국채 금리는 관세 불안으로 경기가 둔화되는 것을 우려하며 단기 금리가 감소했으나 장기 금리는 관세로 인한 물가 상승 압력과 안전자산으로서의 미국채 지위 약화, 중국의 미국채 매도 움직임 등의 영향으로 상승하면서 혼조세를 보임

미국 3년물 국채 입찰은 수요 부진

미국 3년물 국채 응찰률은 2.47배로 전달 2.70배, 이전 6개월 평균치 2.62배를 하회

환율




달러 지수는 하락하며 달러 약세

원화, 엔화 강세

시장 위험 지표




공포 탐욕 지수는 큰 변동 없이 극도의 공포(Extreme Fear) 단계 유지

시장 변동성을 나타내는 VIX 지수는 상승하며 변동성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