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지수

S&P500, 나스닥, 다우 존스, 러셀2000




전일 미국 증시는 트럼프의 중국에 대한 강경한 관세 발언과 관세 관련 가짜 뉴스로 큰 변동성을 보이며 나스닥은 강보합, S&P500은 약보합, 다우와 러셀2000은 소폭 하락하며 혼조세 마감

장 초반 증시는 최근 미국의 상호 관세 발표로 불안감이 지속되는 가운데 연이은 증시 급락으로 헤지펀드들이 2020년 팬데믹 이후 대규모 마진콜을 맞이했다는 소식에 하락 출발

그런 가운데 트럼프가 중국을 제외한 국가에 대해 관세를 90일간 유예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라는 뉴스가 나오자 증시는 급격하게 반등하며 상승 전환

그러나 이 소식이 가짜 뉴스라고 확인되었고,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대해 4/8까지 34% 보복 관세를 철회하지 않으면 미국은 4/9부터 중국에 50%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언급하자 증시는 상승 폭을 일부 반납

또한 트럼프는 트럼프가 중국을 제외하고 회담을 요청한 다른 국가들과의 협상은 즉시 시작할 것이라고 언급했고, 유럽연합(EU)은 미국과 모든 산업에 대한 무관세 협정을 제안했으나 미국이 적극적이지 않다고 주장하는 등 관세 협상 소식들도 발표됨

비록 가짜 뉴스였지만 이번 반등으로 헤지펀드들의 대규모 마진콜 우려가 일부 완화되었고, 중국을 제외하면 관세 관련 협상 기대감이 지속되자 패닉셀이 멈추고 낙폭이 컸던 기술주를 중심으로 반등

주요 뉴스 헤드라인




헤지펀드, 관세폭탄에 대규모 마진콜…2020년 코로나 이후 최대

블랙록 CEO "기업대표들, 美 경제 이미 침체 상태라고 말할 것"

"트럼프, 관세 90일 유예"…'가짜뉴스'에 미 증시 롤러코스터

트럼프 “상호관세, 유예 없어”…베선트 재무 “50여개국과 협상”

트럼프 50% 추가 관세 협박, 대중 관세 104% 될 수도

EU, 美에 상호 무관세 협상 제안…위스키 보복 관세도 철회

트럼프, 상호관세 발표 닷새만 日이시바와 통화…협상 논의

"애플, 관세 부담 줄이려 인도서 더 많은 아이폰 美에 공급"

[국제유가] 트럼프 관세 경고 속 사흘째 급락

[뉴욕증시] 관세협상 기대감에 폭락 진정…나스닥은 0.1% 상승

S&P500 맵




애플(AAPL) 트럼프가 중국이 보복 관세를 철회하지 않을 경우 50% 추가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하자 급락했다가, 월스트리트에서 애플이 관세 부담을 줄이기 위해 인도에서 아이폰 생산을 더 늘릴 것이라고 보도하자 낙폭 축소

엔비디아(NVDA) 트럼프의 대 중국 추가 관세 언급에 급락했다가, 번스타인에서 미국 정부가 멕시코와 무역 협정에 포함된 제품은 상호 관세가 붙지 않으며 멕시코에서 제조되는 엔비디아 반도체 기반 서버도 해당된다고 전하자 상승 전환

브로드컴(AVGO) 블룸버그에서 브로드컴의 이사회가 12/31까지 100억 달러 규모의 자사주 매입을 승인했다고 전하자 상승

메타(META) 관세로 인한 패닉셀 우려가 완화되는 가운데, 차세대 멀티모달 AI 모델 '라마4' 시리즈를 공개했다는 소식에 상승

US스틸(X) 트럼프가 일본제철의 US스틸 인수 재검토와 45일 내 보고서 제출을 명령하자 급등

섹터 실적




트럼프의 상호 관세 불안감이 지속되는 가운데 낙폭이 컸던 일부 빅테크 기업들이 반등하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기술 섹터가 소폭 상승했으나 여전히 전반적인 섹터가 하락

부동산, 에너지, 유틸리티, 경기 방어주, 소비 순환재, 헬스케어, 산업재, 원자재, 금융 순으로 약세

미국 국채 시장




미국 국채 금리는 최근 경기 침체 우려와 안전자산 선호 심리로 급락했었으나, 중국을 제외한 국가와 관세 협상의 가능성이 열려있다는 점에서 경기 침체 우려가 일부 완화되었고, 주가 급락에 따른 마진콜을 막기 위해 안전자산을 처분하여 자금을 마련하려는 차익 실현 움직임에 반등

환율




달러 지수는 상승하며 달러 강세

원화 강세, 엔화 약세

시장 위험 지표




공포 탐욕 지수는 큰 변동 없이 극도의 공포(Extreme Fear) 단계 유지

시장 변동성을 나타내는 VIX 지수는 상승하며 변동성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