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진콜 '금값 폭락'

- 뉴욕증시 폭락 속 '사상 최고가' 달리던 금값마저 하락

- 안전자산 선호 심리에도 불구 금값 3% 가까이 급락

- 투자자들 유동성 부족해지자 금 매도로 수익 확보에 나서

- "금 팔아 마진콜 대응"…추가 증거금 요구, 현금 필요

- 美 헤지펀드들, 팬데믹 이후 '최대' 규모 마진콜 직면

- 주가 폭락하자 투자은행들, 헤지펀드에 추가 증거금 요구

- 상호관세에 증시 폭락…헤지펀드들 차입거래 심각한 타격

- 상호관세 이후 이틀간 뉴욕증시 시총 6.6조 달러 증발

- 최악의 일주일 보낸 뉴욕증시…주식·국채금리·유가 줄하락

- 모건스탠리, 헤지펀드 매도세 '역대 최악'…시장 요동

- "금의 경우 마진콜에 대응하는 유동자산 성격이 있다"

- 위험 이벤트 발생 시 금 매도…자산 포트폴리오에서 역할

- 끝 안 보이는 관세충격…뉴욕증시, 9·11 때보다 더 공포

금값 폭락 트럼프 관세의 영향도 있지만 마진콜 때문에 그래요

주가 상승기 기술주 호황을 많이 누린대신 많이 떨어졌고

전통주 생활에 필요한 주식들은 잘 떨어지진 않아요

기술주 미래투자를 줄이면 된다는 생각에 떨어집니다.

국채, 유가, 비트코인, 달러가치 다 떨어졌어요

가장 안전자산 금값이 충격을 받았습니다.



선물거래에서 마진콜이 일어난다. 선물증거금 5% 인도하기 전에

떨어지면 금융기관 피해 증거금을 더 내라 아무런 조건 없이 팔아야 하는 상황입니다.

금값 안전자산이었지만, 부도손실 3% 떨어지는 것은 마진콜의 영향으로

팔 수 밖에 없는 상황이 올 수도 있어요

트럼프 관세 마진콜에 미래손실분 주가가 휘청 거릴 수 있고

현재 시총 1경이 떨어짐 1만조 정도 되는데 마진콜의 피해를

헤지펀드 어떤 엉뚱한 물건 팔아서 다시 팔 것인가? 지켜봐야죠


트럼프 퇴진

- 美전역서 '트럼프 반대' 시위…일방적 국정 운영 반대

- 150여 개 민간단체 참여, 1천200건 이상 시위·행진

- 연방 공무원 감축·대규모 관세 등 '트럼프 정책' 반대

- 트럼프 2기 출범 2개월 반 만에 전국적으로 시위 확산

- 전국 시위 타이틀 "핸즈 오프"…"트럼프 손을 떼라"

- "트럼프·머스크 나가야 한다" 구호…"왕은 없다" 문구

- "좌파, 우파가 아니라 옳고 그름의 문제다" 팻말도

- 美 유권자 54% '관세정책 반대'…두 달여 만에 뒤집혀

- 관세 대혼란에도 트럼프 "이건 경제 혁명" 강행 의지

- 뉴욕증시 패닉에도 "우리는 승리할 것이니 인내하라"

- "쉽지 않겠지만 그 결과는 역사에 남을 것…MAGA!"

트럼프 퇴진

반트럼프 시위 60만명 퇴진 운동 핸즈 아웃 핸즈 오프 기치를 내세우죠

국정에서 물러가라며 150여개 민간단체 미국사람들 움직였습니다.

주식투자자 그렇게 많지 않아 중요하지 않으나

관세 폭탄 잘 한다고 했고

물가 실업률 지표도 괜찮아요

오히려 반트럼프 민주당 친민주당이 주도로 거리로 나왔지만

미국 내 불만 해고 연방공무원 감축이 크고

이민자, 성소수자, 성차별 등에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거리로 나온 사람들이 많아요

관세 폭탄의 영향은 아직 오지도 않았고 후폭풍이죠

트럼프 아랑곳하지 않는다! 미국경제 더 튼튼해진다고 합니다.

버센트 일시적이라고 하는데요

관세의 영향은 6~7개월 걸리고 1년 9개월 정도에는 결과가 나옵니다.

통곡의 날 관세폭탄 어디로 튈 것인가? 지켜봅니다.


파월의 반란

- 트럼프 "정치 말고 금리 내려라"…파월은 여전히 신중론

- 트럼프, SNS에 "파월, 금리 인하하기 완벽한 시기"

- "에너지 가격·인플레 하락, 일자리는 늘어났다" 주장

- 트럼프 압박에도 현재 정책금리 수준 당분간 유지 신호

- 파월 "관세, 예상보다 높아…인플레 상승·성장 둔화"

- 통화정책 수정 가능성엔 "적절한 경로, 말하긴 일러"

- 3월 FOMC 점도표상 올해 두 차례 금리인하 시사

- JP모건, 올해 세계 경제 침체 확률 40%→60%

파월의 반란 관세로 인플레이션 충격이 더 클 것 같다고 합니다.


트럼프 금리내려라고 하지만 파월은

관세 때린 후 인플레 성장 둔화 신호 S의 공포?가 더 심각해진다고 입장을 바꿨어요

지난 주말 인플레 우려? 시장 트럼프 스테그플레이션 우려가 계속 나옵니다.


베트남 항복

- 트럼프에 46% 상호관세 맞은 베트남…"대미관세 0%"

- 서열 1위 람 당서기장, 트럼프 대통령에 파격제안

- 4일 트럼프와 통화…"美도 동일 수준 관세 적용" 요구

- 관세 협상 위해 상호관세 부과 1~3개월 연기도 요청

- 베트남의 적극적·선제적인 외교…"빠른 대응에 놀랐다"

베트남 항복 상호관세율 0%로 꼬리 내렸습니다.

트럼프는 자랑삼아 SNS에 올렸어요~


베트남도 한국모델로 경제 수출주도형 견디기 어려워요

베트남 협상이 잘되어야 만 합니다. 우리나라 기업 베트남 산이 많기 때문이에요

관세 동남아 폭탄 잘 해결이 되어야 할 것 같아요

4월 9일 부터 상호관세가 시작되고 위기는 시작됩니다.



출처 : sbs biz

#김대호박사의오늘의키워드 #sbsbiz채널 #경제흐름읽기 #시간은소중히쓰자 #주식투자 #부동산투자 #진인사대천명 #마진콜금값폭락 #트럼프퇴진 #파월의반란 #베트남항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