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의 관세 정책과 생각보다 더딘 소비자물가지수 하락으로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가 점점 커지고 있다. 스태그플레이션은 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이 동시에 발생하기에 인플레이션이나 디플레이션보다 더 위험하다고 평가된다. 이런 상황에서는 어떻게 투자를 하는게 현명할까?
미국 경기침체 우려
골드만삭스는 관세 정책으로 인한 미국 경기침체 확률을 기존 20%에서 35%로 상향했다. 4월 2일에 발표하는 상호관세는 광범위한 무역 제한 조치이다. 그 동안은 캐나다, 멕시코 등 일부 국가와 철강, 자동차 등 일부 품목에 대해서만 관세를 부과했지만 앞으로는 범위가 대폭 확대된다.
관세가 오르면 수입 물품 가격이 상승하면서 소비자 물가가 상승하게 된다. 물가가 상승하면 구매력이 감소하고 소비 감소는 다시 기업 매출 감소로 이어진다. 이런 악순환의 고리가 생성되면 경기침체, 더 나아가 스태그플레이션에 빠질 수 있다.
스태그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은 물가는 오르고 경기는 침체되는 현상, 즉 저성장 고물가 시대이다. GDP, 물가, 실업률 모든게 다 비관적인 상황이다.
경기가 침체하니 금리를 인하해서 경기를 살려야 하는데 너무 고물가 상태이니 추가로 금리 인하를 했다간 물가가 폭등할 수 있다. 물가를 잡기 위해 금리를 인하하면 경기가 더 안좋아질 수 있다.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인거다.
그래서 경제학에서는 인플레, 디플레보다 스태그플레이션을 더 위험하고 극복하기 어려운 상태로 본다.
투자 대응
이런 상황에서 아무것도 안하는 것도 방법이긴 하지만 물가 상승은 화폐 가치 하락을 의미하기 때문에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가진 돈의 실질 가치가 하락한다.
1. 경기방어주, 배당주
스태그플레이션 상황에서는 경기방어주, 필수소비재주가 상대적으로 강한 모습을 보인다. 떨어지더라도 덜 떨어지고 보통 이런 기업들은 꾸준한 배당금을 지급하기 때문에 손실을 보더라도 배당금으로 어느정도 손실을 메꿀 수 있다. 대표적인 경기방어주로는 P&G, 월마트, 코카콜라 등이 있다.
2. 금투자
현재 국제 금 시세는 계속해서 오르는 중이다. 금은 대표적인 안전자산이고 지금처럼 혼란한 상황에서 수요가 급증한다. 국제 금시세를 추종하고 싶다면 GLD ETF, 국내 금시세를 추종하고 싶다면 KRX 금현물을 추천한다.
3. 미국 주식 저가매수
마지막 방법은 많이 떨어진 미국 주식을 저가에 매수하는 방법이다. 이미 미국 주식은 전고점 대비 10% 넘게 하락했다. 특히 엔비디아, 테슬라, 애플 등 기술주의 하락폭이 크다.
이 기업들의 펀더멘탈 자체가 크게 문제가 된게 아니라, 경기 침체로 인한 공포로 시장 자체가 빠지는거라면 저가 매수 타이밍이라고 볼 수도 있다. 물론 어디까지 하락할지 모르기 때문에 추이를 보면서 분할 매수로 대응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