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간 미국 증시 시황 체크

(S&P500)



주요 지수/지표 체크

(지난 거래일 대비)


나스닥

17,601.05 / +151.16(+0.8%)

S&P 500

5,670.97 / +37.90(+0.6%)

다우존스

42,225.32 / +235.36(+0.5%)

원/달러 환율

1,469.81원 / -1.89원(-0.1%)

공포 탐욕 지수

17p / -2p(극도의 공포 구간)


주요 뉴스 체크

출처 입력

→ 트럼프 대통령이 전례 없는 강도의 상호 관세 정책을 발표하면서 시장에 충격을 던졌습니다. 10% 기본 관세에 최대 50% 상호 관세까지 예고되며 공급망 불안과 인플레이션 압력이 동시에 부각되고 있죠. 소비 위축과 기업 비용 증가가 맞물릴 경우 경기 침체 리스크도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단기적으로는 증시와 소비 심리에 큰 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 한국은행은 미국의 상호 관세 조치가 예상보다 훨씬 강했다고 평가하며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실제로 국채 금리와 주요국 환율이 급변하며 투자심리가 크게 위축되는 모습인데요. 향후 주요국의 대응 여부에 따라 시장의 불안정성이 더욱 확대될 여지가 있습니다. 중앙은행 차원에서도 정밀한 대응이 불가피한 상황입니다.


→ 트럼프발 고율 관세 여파에 아시아 증시가 일제히 급락 출발했습니다. 일본 닛케이는 4% 넘게 떨어졌고, 코스피도 하락폭을 키우고 있고 관세 수준이 예상치를 뛰어넘으면서 시장은 충격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미국 선물시장도 출렁이면서 전반적인 글로벌 증시 불안이 가시화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 관세 전면전이 시작되며 미국 증시는 장 마감 후 다시 요동쳤습니다. 나스닥과 S&P500 선물 모두 하락세로 돌아서며 시장은 빠르게 리스크를 반영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산 자동차 시장을 직접 지적한 점에서 향후 한국 수출 기업들의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 무역 갈등이 단순한 이슈가 아닌 구조적인 충격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 미국의 EU산 자동차 관세 추진이 본격화되면서 자동차 운송업계가 직격탄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기존 철강·알루미늄 관세로 인한 물동량 감소에 이어 추가 관세가 현실화될 경우 사업 존립 자체가 흔들릴 수 있다는 위기감이 팽배한 상황 속에 관세 리스크가 실물 산업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는 흐름입니다.


재투로 코멘트


이번 주 글로벌 시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 전면 발표로 전례 없는 혼란 속에 빠졌습니다. 10% 기본 관세에 최대 50%의 상호 관세까지 포함된 이번 조치는 단순한 무역 갈등을 넘어 경제 구조에 직접적 충격을 줄 수 있다는 우려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한국을 포함한 주요국 통화와 증시가 일제히 흔들렸고 각국 정부는 시장 점검과 대응 체제 가동에 나섰습니다. 자동차와 운송, 제조업계 등 실물 경제 전반에도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죠. 이런 시기일수록 투자자들은 급변하는 외부 변수에 즉각 반응하기보단 시장의 흐름을 관찰하며 방어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공격적 매매보단 리스크 관리와 현금 비중 조정이 우선시되는 국면입니다.


이상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재투로였습니다.

오늘도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이 포스팅은 매매 및 종목을 추전하는 글이 아니며,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또한, 투자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귀속됨을 기억해 주세요~!

이 글을 읽어주시는 모든 분들의 성투를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