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지수

S&P500, 나스닥, 다우 존스, 러셀2000




전일 미국 증시는 트럼프의 상호관세 발표를 앞두고 시장 불안이 커지며 나스닥이 한때 2.7%까지 급락했으나, 분기말 수급 요인으로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자 낙폭을 축소하며 다우와 S&P500은 상승, 나스닥과 러셀2000은 소폭 하락하며 혼조세로 마감

시장은 트럼프가 모든 국가에 최대 20%의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불안감을 키웠고, 이에 따라 경기 둔화 우려와 함께 국채 금리와 증시는 하락

그러나 ISM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발표를 앞두고 시카고 PMI가 여전히 위축 국면에 있으나 예상보다 양호하게 나타나면서 경기 불안 심리가 일부 완화되자 국채 금리와 증시는 반등

특히 필수소비재, 금융, 에너지 등 경기 방어 섹터 위주로 분기말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낙폭을 축소하거나 상승 전환에 성공

주요 뉴스 헤드라인




美상호관세 어디까지.. 트럼프 "모든 국가에" [트럼프 관세공습 임박]

골드만삭스 "관세로 美 인플레·실업률 증가, 침체확률 30%"

트럼프 관세 불확실성 증폭…월가 헤지펀드 주식 포지션 축소

백악관 "2일 상호관세, 예외없다…불공정 무역관행 해소"(종합)

美 3월 시카고 PMI 47.6…예상치 상회ㆍ16개월째 위축

"세계 4위 글로벌파운드리, 대만UMC와 합병 검토"

아마존, AI 에이전트 '노바 액트' 출시…오픈AI 등과 경쟁

ARM "올해 데이터센터 CPU시장 점유율 50% 급증 예상"

[뉴욕유가] 러시아에 관세 압박·위험 선호 회복…WTI 3% 급등

트럼프 관세 발표 앞두고 혼조세…다우 1% 상승, 나스닥 0.14% 하락[뉴욕마감]

S&P500 맵




애플(AAPL) 골드만삭스가 2025년 2월 중국 내 외국 브랜드 휴대폰 출하량이 전년 대비 9% 증가했다고 강조하며 애플에 대해 매수 등급과 목표 주가를 294달러로 유지한다고 밝히자 상승

코어위브(CRWV) 지난 28일 나스닥 거래소에 상장하면서 2021년 이후 최대 규모의 기술기업이자 순수 AI 기업 IPO로 주목받았으나 경제 불확실성과 기술주 약세 속에서 상장 후 2거래일 만에 주가 급락

모더나(MRNA)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COVID-19 팬데믹 기간 동안 백신 개발을 지지했던 최고 백신 책임자인 피터 마크스 박사가 해고되었다는 소식에 급락

엔비디아(NVDA) AI 산업에 대한 관심도 하락 및 관세로 인한 불확실성 영향에 급락했으나 분기말 리밸런싱 매수세가 유입되며 낙폭 축소

테슬라(TSLA) 경기 둔화 우려 및 관세 불확실성으로 급락했으나 분기말 리밸런싱 수급이 유입되며 낙폭 축소

아마존(AMZN) 이용자를 대신하여 스스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AI 에이전트 '노바 액트'를 출시한다고 밝혔으나 하락

ARM(ARM) 로이터에서 데이터센터 CPU 부문에서 자사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이 지난해 15%에서 올해말 50%로 급증할 것이라고 보도했으나 소폭 하락

섹터 실적




트럼프의 상호 관세 발표를 앞두고 급락 후 분기말 리밸런싱 수급이 유입되며 경기 방어주가 상승 주도

이어서 유틸리티, 금융, 에너지, 부동산 순으로 소폭 강세

소비 순환재, 기술주는 반등했으나 상승 전환하지 못하고 약보합 마감

미국 국채 시장




미국 국채 금리는 트럼프 대통령이 모든 국가에 최대 20% 상호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발언하자 경기 둔화 우려로 하락했으나, 시카고 구매관리자지수(PMI)가 예상보다 양호하게 나타나면서 낙폭을 축소하며 소폭 하락 마감

미국 3월 시카고 PMI는 47.6으로 예상치 상회, 이전 대비 상승

환율




달러 지수는 상승하며 달러 강세

원화, 엔화 강세

시장 위험 지표




공포 탐욕 지수는 큰 변동 없이 극도의 공포(Extreme Fear) 단계 유지

시장 변동성을 나타내는 VIX 지수는 상승하며 변동성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