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해방의 날

- 백악관 "2일 로즈가든서 상호관세 발표…예외 없다" 강조

- 백악관 로즈가든, 해외 정상과 기자회견 등 행사에 이용

- 트럼프 2기 로즈가든 첫 공식 행사…내각 인사들 총출동

- 상호관세 부과 예외 국가 질문에 "이번에는 없을 것"

- 트럼프 대통령 "상호관세는 모든 국가에 시작될 것"

- 비관세장벽·환율도 고려사항…대미 무역흑자국 겨냥 전망


트럼프 해방의 날 식민통치를 당한 적 없는데 왜 해방의 날 인가?

미국은 동맹이라서 잘해줬는데 허점을 이용해서 갈취해갔다고 합니다.

4.2 로즈가든에서 미국의 해방선언을 위해서 미국만 해방 상호관세 폭탄선언을 할 예정이에요

트럼프 구체적 발언 월스트리트 저널 보편관세 보다는 상호관세에 가깝고

모든 국가 불공정 점검 때린다고 하죠

일률적으로 미란보고서 20~25% 무역 적자 대상국에 관세 관세율이 통일되지 않았습니다.

상호관세의 폭이 광범위 하게 선언 협상해가며 개별적 국가에가 다르게 적용될 것 같아요

미국 무역고문은 관세를 통해서 6~7조 달러를 거둬 들일 것인데

외국에 걷는 것은 7조 달러 국내 기업 감세하고 고용창출을 늘릴 것이다고 하죠


더티 15

- WSJ "트럼프, 모든 국가에 20% 부과 검토" 보도

- "트럼프, 무역적자 보는 모든 국가에 관세 부과 원해"

- "각 나라별 '깔끔한 숫자' 원해…최종 결정은 아직"

- 亞 콕 찍어 "불공정"…참모진에 '더 강한' 관세 주문

- 트럼프, 유력 옵션 꼽혔던 '더티 15' 부과설 부인

- '더티 15' 일부 국가 아니라 모든 교역국에 관세부과

- 앞서 베센트 재무, '더티 15' 거론…일부 국가 초점

- USTR, 트럼프·의회에 국가별 무역 평가 보고서 제출

- 전 세계 무역 상대국의 불공정한 '무역 장벽' 총망라

- 나바로, 韓·獨·日 콕 집어 "美를 車 조립국 만들어"

- 나바로 "관세, 향후 10년간 6조 달러…관세는 감세"

- 美 상호관세 시행되면 한미 FTA '반쪽짜리'로 전락?

- 韓, FTA로 대부분 美상품에 '0% 관세'…관세 타깃



더티 15 상호관세 부과국 우리나라 들어갈 확률이 높아요

한국의 일부전문가 관세율이 제로 퍼센트인데 더 할게 있는가요?

무역적자를 보는 모든 나라에 적용할 것 같아요

자동차관세를 발표 한 이 후 트럼프는 한미 FTA 미국에 도움이 되지 못했다고 했죠

미국 국가별 무역평가보고서(NTE) 상호관세폭탄의 근거가 될 것 같아요

트깋 자동차에 대해서 세게 지적하고 있어요

한국이 무엇인가 차별하고 있어요 한국이 현대 31조 투자 했는가? 중요한 것이 아닙니다.

숨겨져 있는 디테일 보고서에 대해 문제에 즉시하고 관세폭탄은 커질 수 있기에

우리나라 협상전략을 잘 세워야 하겠습니다.


공매도 x 상호관세

- 코스피, 美 상호관세·공매도 재개 겹악재에 3% 급락

- 코스피 2500선 붕괴…코스닥도 3% 급락 670대

- 코스피 시총 상위 줄하락…환율, 금융위기 이후 최고

- 대미수출 의존 높은 日·대만 급락…안전자산 금값 치솟아

- 공매도 재개 첫날 1.7조 거래…외인 비중 90% 육박

- 정규시장 거래대금 1조 7284억…전체 11.41% 비중

- 상호관세 우려에 공매도 불안감까지…단숨에 낙폭 키워

- 대차잔고 비중 높았던 2차 전지·바이오 급락…매도세 집중

- 변동성 불가피…수급 여건 점차 개선 방향으로 전개 기대

국내 증시 급락요인 공매도인가? 상호관세인가? 코스피 코스닥 많이 떨어졌어요

정확하게 진단을 해야 하는데 환율도 금융위기 이후 최고 수준입니다.

근데 일본 대만 급락이 더 큽니다.

상호관세 폭탄으로 미국 경제를 살리기 위해서인데 미국 증시를 들여다 보는 것도 중요한데

미국에 흑자 일본 한국 대만 많이 떨어졌어요

공매도 1년 5개월 이후 1조 7억원 그렇게 많지 않았다고 합니다.

롱 숏을 함께 하고 있기에 외국인 자본이 들어 올 수 있는 환경 조성이 됩니다.

많이 올라 있던 기업은 조정을 받을 것 같습니다.


김승연 증여

- 한화, 경영권 승계 완료…김승연, 세 아들에 지분 증여

- 김승연 회장 한화 지분 11.32%, 세 아들에 증여

- 3형제, 한화 지분 42.67%로 경영권 승계 '완료'

- 김승연 회장 지분 증여 증여 후에도 경영 자문 등 지원

- 한화 "시장의 불필요한 오해 바로잡기 위한 것"

- 한화에어로 유상증자·한화오션 지분 인수 등 논란 차단


김승연 증여 합법 한화의 이미지가 손상을 주기 전에 했으면 좋았는데요

한화에너지 사전증여를 한다 지분을 많이 늘려 났다고 하죠

뒤늦게 정면돌파를 하지만 꼼수 일 수 있고

이러한 이유로 상법개정이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어요!



출처 : sbs biz


#김대호박사의오늘의키워드 #sbsbiz채널 #경제흐름읽기 #시간은소중히쓰자 #주식투자 #부동산투자 #진인사대천명 #트럼프해방의날 #더티15 #공매도x상호관세 #김승연증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