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토나리의 화살 비유
일화 설명: 일본의 모토나리가 세 아들에게 화살 부러뜨리기를 통해 단합의 중요성을 가르침.
화살의 의미: 한 개의 화살은 쉽게 부러지지만, 세 개의 화살은 부러뜨리기 어렵다는 점을 통해 형제들이 서로 협력하고 단합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함.
첫 번째 화살: 바이백
*미국 재무부의 바이백: 분기당 200억 달러 규모로 이루어지는 이 정책은 유동성을 공급하겠다는 재무부의 의지를 보여줌.
효과 분석: 바이백 자체의 효과는 크지 않지만, 시장에 긍정적인 신호를 보내어 투자자들에게 안심을 줄 수 있음.
*재무부의 바이백: 재무부가 미국 장기국채를 사들이는 행위
두 번째 화살: *QT 테이퍼링
QT 설명: QT(Quantitative Tightening)는 유동성을 축소하는 정책(돈을 회수)으로, 2022년 9월부터 연준이 시작함.
세부 내용: 매달 600억 달러의 국채를 회수하여 시장에서 유동성을 줄임.
유동성의 개념: 유동성은 화폐 공급량과 화폐 유통 속도를 곱한 값임.
화폐 공급이 줄어들면 유통 속도가 빨라져도 유동성이 늘어날 수 있음.
모텔 비유: 숙박요금을 낮추면 매출이 줄어들 수 있지만, 대실을 늘려 회전율을 높이면 전체 매출이 증가할 수 있다는 점을 통해 QT의 효과를 설명함.
QT 축소 발표: 2024년 5월, 파월이 QT를 6월부터 250억 달러로 줄이겠다고 발표.
의미: 유통 속도를 유지하면서 유동성을 늘리는 효과가 나타날 수 있음.
*QT 테이퍼링: 돈을 회수하는 속도를 서서히 줄여간다는 뜻.
세 번째 화살: TGA
TGA(Temporary General Account): 미국 재무부의 마이너스 통장 같은 개념으로, 8천억 달러의 잔고를 유지해야 함.
부채한도 협상: 2023년 6월 부채한도 협상에서 TGA 잔고가 0에 가까워지면서 미국의 신용등급이 하락할 뻔함.
잔고 회복: 협상 후 TGA 잔고를 8500억 달러로 늘렸으며, 연말까지 7000억 달러로 줄이겠다는 계획을 발표.
미장에 미치는 영향
미장 반응: 바이백, QT 테이퍼링, TGA가 미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됨.
S&P500 지수: 2025년 2월 19일 S&P500이 6157로 피크를 찍고 추세가 바뀜.
유동성 메커니즘
욕조 비유: 연준이 QT를 통해 유동성을 회수하는 과정을 욕조의 물을 빼는 것으로 비유함.
욕조의 가득 찬 물(유동성)을 QT를 통해 물을 빼는 것임.
역레포의 역할: 역레포가 새로운 유동성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역레포 잔고가 줄어들면 시장에 유동성이 공급됨.
수도꼭지에서 물을 틀어 욕조에 물(유동성)을 채움.
현재 상황: 2025년 3월 19일 기준 역레포 잔고는 1933억 달러로 감소. 역레포 잔고가 줄어들면서 유동성 공급 메커니즘이 한계에 도달함을 의미.
QT의 중단 가능성
로건 총재 발언: QT 종료와 관련된 발언이 있었으며, QT의 종료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됨.
로건 총재의 위치: QE와 QT같은 대차대조표 정책은 뉴욕연은이 담당함. 로건은 뉴욕 연은 부총재로 근무하면서 이 대차대조표 정책의 실무 총 책임자로 일했던 인물임.
시장 반응: QT 테이퍼링을 축소하겠다는 발표가 시장에 긍정적인 반응을 일으킴.
결론
유동성 감소: 미국 증시의 유동성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QT 테이퍼링과 역레포 잔고 감소가 미치는 영향이 중요함.
주식은 누군가 더 높은 가격으로 사줄 사람이 있을때 오르는 속성이 있음. 더 높은 가격으로 사줄 수 있는 배경에는 풍부한 유동성이 바탕이 되야 함.
관전 포인트: 2분기 미장의 관전 포인트는 유동성 공급이 계속될 수 있을지가 될 것임.
※메르님의 블로그에서 인사이트를 얻어 이해하기 쉽게 다시 정리 요약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