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주석의 계보

주석의 주요 인물: 마오쩌둥, 덩샤오핑, 시진핑의 세 명으로 요약 가능함.

마오쩌둥: 중국의 통일과 혁명의 상징이나, 경제 정책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음.

대약진운동

배경: 1958년 마오쩌둥은 대약진운동을 시작하고, 목표는 7년 안에 영국을, 15년 안에 미국을 따라잡는 것임.

4해 박멸 운동: 농업에 해를 끼치는 모기, 파리, 쥐, 참새를 박멸하기로 결정함.

문제 발생: 참새를 대량으로 잡자 메뚜기가 번성하여 곡식이 크게 피해를 입음.

소형 용광로: 마을마다 작은 용광로를 만들어 철을 생산하려 했으나, 기술 부족으로 질 낮은 철(똥철)이 생산됨.

농기구 파괴: 지역 관료들이 농기구를 녹여 철을 만들며 농업 생산성이 떨어짐.

집단농장: 농민들이 공동으로 경작하였으나, 개인의 노력 부족으로 생산량 감소해 결국 대기근이 발생하여 3천만명이 굶어죽음.

후계자와 정치적 갈등

화궈펑: 마오쩌둥의 후계자로 지명되었지만 혁명 경험이 부족하여 권위가 낮았음.

덩샤오핑의 등장: '*실사구시'라는 구호로 마오쩌둥의 정책을 비판하고 개혁을 제안함.

정치적 전환점: 1978년 중앙위원회를 통해 권력을 이어받음.

*실사구시:이론보다 현실을 중시하고, 이념보다 실용적인 정책을 선택하자는 철학

덩샤오핑의 세 가지 정책 방향

선부론: 먼저 부자가 되어 그들이 남을 도와야 한다는 이론을 통해 해안 도시를 집중적으로 발전시킴.

도광양회: 겉으로 드러내지 않고 실력을 기르라는 의미로 자본주의 국가와의 수교를 통해 성장하려는 전략.

집단지도체제: 권력을 7명으로 분산시켜 의사결정을 하도록 함. 지금의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임.

경제 성장과 부패

경제 성장: 덩샤오핑의 정책으로 GDP가 급증하며, 고위 당원과 인맥이 있는 사람들은 큰 이익을 얻음.

부정부패: 돈에 대한 욕심이 커지면서 규칙과 윤리가 실종되고, 부자들이 돈을 해외로 빼돌리기 시작함.

시진핑과 공동부유

공동부유 정책: 시진핑이 부의 재분배를 강조함.

세 가지 요점: 1번과 2번은 빠르게 시행되기 어려워 3번이 강력하게 실행됨.

1. 열심히 일하는 자에게 더 많은 부를 준다.

2. 부의 편중을 방지한다.

3. 기업의 자발적 기부를 유도한다.

기업 기부: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대규모 기부를 발표하며, 사회적 책임을 강조함.

경제 정책과 반응

부유층의 탈출: 부자들이 해외로 자산을 빼돌리며 중국을 떠나는 현상이 나타남.

경제 성장률: 시진핑은 5% 경제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부동산 경기가 부진하여 어려움이 있음.

양회와 경제 부양

국진민퇴 정책: 2018년, 미국과 무역전쟁을 시작하며 *국진민퇴 정책을 시행 함.

양회 일정: 2025년 3월 4일부터 1주일간 진행되었고, 시진핑의 발언이 주목받음.

시진핑의 발언: '국영기업이 아니라 민영기업이 다시 경제를 리드해서 돈을 많이벌고, 나중에 그 돈을 나눠쓰자' 라는 뜻의 말을 함.

재정적자 목표: 재정적자 목표를 3%에서 4%로 수정하여 경기 부양 의지를 나타냄.

부동산 거래 세금 완화: 1가구 1주택자가 5년 이상 거주한 주택의 양도소득세를 면제함.

*국진민퇴: 민영기업 퇴진과 국영기업 우선 정책이 강화됨. 민영 기업의 발전을 강조하며, 경제 성장을 유도함.

결론

경제 정책의 변화: 중국은 경제 회복을 위해 민영기업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부의 재분배를 강조함.

미래 전망: 경기부양책과 민영경제 촉진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단기적으로 경제 성장이 지속될 가능성이 있음.

※메르님의 블로그에서 인사이트를 얻어 이해하기 쉽게 다시 정리 요약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