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자본주의 밸런스 톨라니 입니다.
이번 주(3월 17일 ~ 21일)은 미국 3월 FOMC 통화정책 회의를 비롯한 일본은행, 영란은행 그리고 중국 인민은행 등의 통화정책 회의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미국 3월 FOMC 통화정책회의에서 금리 동결을 예상하고 있으나, 파월 연준 의장의 발언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또한 이번 주 내내 엔비디아는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인공지능 컨퍼런스 GTC 2025를 개최합니다. 전 세계 반도체 관련 기업들이 참가할 예정입니다. 컨퍼런스의 기조연설을 맡은 엔비디아 CEO 젠슨 황 발언과 차세대 AI 반도체 블랙웰 울트라 등의 공개에 투자자들의 초점이 맞추어져 있습니다.
주요 국가 중앙은행들의 통화정책, 엔비디아의 인공지능 컨퍼런스 그리고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에 대한 새로운 발언 등이 이번 주 미국 뉴욕 증시는 물론 주요 국가들의 주식시장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합니다.
이에 '3월 FOMC 회의 개최 연준 파월 의장 발언 주목, 엔비디아 GTC 행사 젠슨 황 발언 초점 등 전 세계 주간 경제·금융 일정 및 이슈' 관련하여 언론 보도 및 국제금융센터 보고서를 통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01. 미국 및 주요 국가 주간 경제·금융 일정
이데일리 2025.03.16 박순엽 기자
1) 3월 17일 (월)
● 중국 1월 ~ 2월 소매판매 · 산업생산
● 미국 2월 소매판매
● 한국 넥스트레이드 거래 종목 100개 추가
● OECD 중간 경제전망 보고서 발표
2) 3월 18일 (화)
● 일본 BOJ 금융정책결정회의
● 엔비디아 GTC 2025 개막
3) 3월 19일 (수)
● 일본 BOJ 기준금리 결정
● 미국 3월 FOMC 회의
● 젠슨 황 엔비디아 CEO 'GTC 2025' 기조연설
4) 3월 20일 (목)
● 미국 Fed 기준금리 결정
● 미국 주간 신규실업보험청구자 수
● 일본 증시 휴장
5) 3월 31일 (금)
● 한국 3월 1일 ~ 20일 수출입
● 일본 2월 소비자물가지수 CPI
02. 주요 국가 주간 경제·금융 이슈
국제금융센터 안남기 종합기획분석실장
1) 3월 FOMC 회의 개최. 금리동결 전망 속 관심은 금리 향방 및 경제 평가
● 3월 18일 ~ 19일 FOMC 회의 개최. 작년 9월 빅컷(50bp), 11월 25bp, 12월 25bp 등 3회 연속 정책금리 인하(4.25 ~ 4.50%)를 단행했으나 1월 동결에 이어 금번에도 동결 전망 우세
- 관심은 결정문 및 기자회견에서 △향후 금리 인하 궤적 변화 여부 △경기둔화 조짐에 따른 경제 평가 △최근 인플레이션 둔화에 대한 시각 △트럼프 정책 영향 등에 집중
- 금번에는 분기 경제전망 발표 △점도표상 내년 정책금리 전망의 상향조정 여부(12월 3.6 ~ 4.1%, 중위값 3.9%) △경제성장률 전망 변화(12월 금년 2.1%, 내년 2.0%) △근원 PCE 전망 수정 여부(12월 금년 2.5%, 내년 2.2%)등에 주목
● 3월 17일 미국 2월 소매판매 발표. 작년 12월 전월대비 0.4%에서 금년 1월 -0.9%로 급격히 약화되며 소비 둔화 우려를 확대시켰지만 금번에는 0.7% 내외로 반등할 가능성
- 3월 18일 미국 2월 산업생산은 전월 0.5%에서 2개월 연속 둔화될지 관심
2) 일본은행 및 영란은행 통화정책회의. 중국의 LPR 인하 여부도 주목
● 일본은행은 3월 18일 ~ 19일 금융정책결정회의 개최. 작년 9월, 10월, 12월 동결 후 금년 1월 정책금리(무담보익일물 콜금리 0.25% 정도)를 다시 인상했으나 금번에는 동결 전망
- 3월 21일 일본 2월 CPI도 관심. 헤드라인지수는 1월 전년동월대비 4.0%로 3개월 연속 급등한 바 있음
● 영란은행은 3월 20일 통화정책회의 개최. 금년 2월 정책금리를 25bp 재차 인하(4.50%)했으나 금번에는 인플레이션 우려로 동결 전망 우세. 다만 성장 우려로 인한 인하 의견도 존재
● 중국 인민은행은 3월 20일 대출우대금리(LPR)를 결정. 2월까지 4회 연속 동결해오고 있으나 3월 양회 이후 성장 진작을 위해 인하에 나설지 주목(1년만기 3.1%, 5년만기 3.6%)
- 3월 19일 4차례 금리 인상한 브라질(13.25%), 20일 5회 연속 인하한 스웨덴(2.25%)도 관심
3) 중국 1월 ~ 2월 경지지표 발표. 경기부양 영향이 지속될지 관심
● 3월 17일 중국 1~2월 경제지표 발표. 소매판매는 작년 12월 전년동월대비 3.7%로 반등한 가운데 금번에도 추가로 상승할지 관심. 컨센서스는 4.0% 내외 예상
● 고정자산투자는 작년 12월 3.2%로 2개월 연속 둔화된 이후 반등 예상. 반면 산업생산은 작년 12월 6.2%로 비교적 큰 폭 반등해 금번에는 일부 둔화될 가능성
4) OECD 경제전망 발표. 세계경제 및 국별 전망치 조정 방향에 주목
● OECD는 3월 17일 OECD 중간 경제전망 보고서를 발표. 작년 12월 금년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3.2%에서 3.3%로 0.1%p 상향 조정한 이후 조정 방향에 주목
● 국가별로는 금년 미국(2.4%), 유로존(1.3%), 일본(1.5%), 중국(4.7%), 인도(6.9%)의 전망치 조정에 관심. 한국은 작년 12월 2.5%에서 2.3%로 낮춘 상황에서 추가 하향 조정 가능성
5) 금주 트럼프의 정책 행보에 촉각. EU 정상회의 및 독일 기본법 개정 표결도 관심
● 금주 △트럼프의 EU 추가 보복 여부 △미-캐 관세 협상 △트럼프의 정유사 CEO 회동 △연방공무원 해고 갈등 외에 △러-우 전쟁 관련 주요국의 행보에 관심
● EU 정상회의는 3월 20일 ~ 21일 러-우 전쟁, 중동, 경쟁력 강화, 이민 등을 논의. 한편, 독일 정치권은 지난주 대규모 인프라-국방 특별 예산을 위한 기본법 개정에 합의 후 3월 18일 본회의에서 표결할 예정
6) 엔비디아 GTC 행사 개최. 최근 빅테크 조정장세에 자극이 될 지 주목
● 엔비디아는 3월 17일 ~ 21일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인공지능 컨퍼런스 'GTC 2025'를 개최. 엔비디아,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주요 기업이 참석하며 30여만 명이 참석
● 최근 빅테크 주가의 조정장세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3월 18일 젠슨황의 차세대 칩, 합작 등 미래 전략, 3월 20일 양자컴퓨팅을 다룰 퀀텀데이, 중국 AI Day 등이 중시 촉매제가 될지 관심
지금까지 '3월 FOMC 회의 개최 연준 파월 의장 발언 주목, 엔비디아 GTC 행사 젠슨 황 발언 초점 등 전 세계 주간 경제·금융 일정 및 이슈' 관련하여 알아보았는데요.
미국 연준을 비롯한 주요 국가들의 중앙은행 통화정책회의들이 이번 주에 집중되어 있어 글로벌 투자 시장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는데요. 다만 기준금리 동결, 인하 등의 결과보다는 향후 방향성에 대한 연준 의장 및 각국 중앙은행들 총재 발언에 투자자들이 반응을 보일 것으로 전망합니다.
이번 주도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대한 발언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는 가운데 주식시장 또한 불확실성이 투자 심리를 악화시킬지 또한 지켜보아야 할 것 같네요.
여러분들의 성공 투자 여정을 응원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