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불황을 겪었던 스마트폰·PC 등 정보기술(IT) 기기 수요가 살아나면서 메모리반도체 가격이 바닥을 찍고 상승세로 전환하고 있음

  • 메모리 반도체 양대 산맥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도 시황 회복에 맞춰 범용 메모리 생산 확대에 나설 것으로 전망

  • 13일 대만 시장조사 업체 D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범용 D램인 DDR4 8Gb 제품의 평균 현물 거래 가격은 1.466달러를 기록. 7일(1.442달러) 이후 닷새 연속 증가세

자료 : 서울경제신문


  • 최신 D램인 DDR5 D램의 현물 가격도 오름세. 이날 16Gb DDR5 제품의 현물가는 5.068 달러를 기록. 지난달 12일(4.743달러) 대비 6% 이상 오른 수치

  • 올 1월과 2월 128Gb 멀티레벨셀(MLC) 낸드플래시 고정거래 가격은 2.18달러와 2.29달러로 전월 대비 각각 4.57%, 5.29%씩 상승

  • 지난해 세계적인 ‘AI 붐’으로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AI 서버용 고성능 반도체는 날개 돋친 듯 팔렸지만 PC와 스마트폰에 쓰이는 범용 메모리는 경기 침체와 소비 둔화로 공급 과잉에 시달렸고 올해 역시 상황이 크게 나아지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었음

  • 그러나 가격 상승과 함께 2분기가 되면 PC·스마트폰 시장의 수요 회복세로 메모리 시장까지 활기를 띨 수 있다는 전망

  • 미국 시장조사 업체 가트너는 올해 AI PC의 시장 규모가 지난해 4302만 대에서 165.5% 급증한 1억 1422만 대가 될 것으로 전망

  • 이종욱 삼성증권 연구원은 “DDR5에 이어 저전력 D램(LPDDR5)까지도 2분기 상승 가능성이 전망된다”며 “범용 제품에 대한 비관론이 2분기 내내 더욱 낙관적인 방향으로 해소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분석

<시사점>

지난 2025년 2월 19일 가트너의 굽타 부사장이 2025년 반도체 매출이 7,05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HBM이 66.9% 성장하고 D램과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 반도체 시장도 함께 커질 것으로 분석한 바 있습니다.

이를 반영, 최근 스마트폰, PC 등 정보기기의 수요가 늘어나면서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 봄이 올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가트너는 올해 AI PC의 시장 규모가 지난해 4302만 대에서 165.5% 급증한 1억 1422만 대가 될 것이라고 긍정적 전망을 내놓고 있습니다. 지난 해가 SK하이닉스의 해였다면 올해는 삼성전자가 반등하는 해가 될 수 있겠다는 판단이 듭니다. 삼성전자 주가가 반등할 경우 국내 상당수의 종목이 긍정적 영향을 받을 것이며, 특히 반도체 관련 기업들도 주가 반등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관련 기사>

https://n.news.naver.com/article/newspaper/011/0004461029?date=2025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