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500, 나스닥, 다우 존스, 러셀2000
전일 미국 증시는 물가 안정에도 불구하고 관세 이슈로 변동성을 보이며 혼조세를 보임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은 큰 폭으로 상승한 반면, 다우는 일부 소비재 종목 부진으로 소폭 하락, S&P500과 러셀2000은 강보합 마감
장 초반 미국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예상치를 하회하며 물가 안정에 대한 기대감을 제공했고, 이에 따라 투자 심리가 개선되며 테슬라, 엔비디아 등 최근 낙폭이 컸던 기술주들이 반등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가 3/12부로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한 25% 관세 부과를 발표하자, 유럽연합(EU)은 283억 달러 규모 상호 관세, 캐나다는 200억 달러 규모의 25% 등의 보복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예고하며 불안 요소가 확대되며 하락 전환
그러나 해당 이슈가 장기간 예고되었던 관세였던 점과 기술주에 대한 강한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며 나스닥을 중심으로 반등
美, 수입 철강·알루미늄에 '예외없는' 25% 관세 부과 돌입
美 2월 소비자물가 전년대비 2.8% 상승…시장 예상치 하회
경제학자들 "美 2월 인플레 둔화, 관세 발효전이라 일시적"
EU, 내달 美에 보복 관세... 41조원 규모
캐나다, 미 수입품에 25% 관세…철강·알루미늄 관세 보복
머스크 스타링크, 인도 진출 가시화…현지 2위 통신사와 계약
[뉴욕유가] 예상 웃돈 원유 수요에 급등…WTI 2.16%↑
관세전쟁 격랑 속 美인플레 우려 완화…뉴욕증시, 나스닥 1.2%↑(종합)
TSMC가 인텔 파운드리 운영한다…인텔 5% 급등(상보)
엔비디아도 인텔 인수에 합류…주가 6.43% 급등
테슬라(TSLA)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 발언, 일론 머스크의 스타링크가 인도 2위 통신사와 계약하여 시장 진출이 가시화되었다는 소식과 함께 CPI가 안정되며 저가 매수세 유입에 상승
인텔(INTC) TSMC가 미국 기업과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인텔 파운드리 부문을 운영한다는 소식에 상승
엔비디아(NVDA) TSMC가 주도한 인텔 파운드리 시설 운영 합작 투자 컨소시엄에 합류한다는 소식과 함께 CPI가 안정되며 저가 매수세 유입으로 상승
GE버노바(GEV), 비스트라에너지(VST), 컨스틸레이션 에너지(CEG) 등 전력 관련 기업들은 전일 트럼프 대통령이 전력 관련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한다고 발언한 것에 이어 세계원자력협회에서 구글, 아마존, 메타 등 14개 기업이 청정 에너지 제공에 있어서 원자력 에너지의 필수적 역할을 강조하는 서약에 서명했다는 소식에 상승
애플(AAPL) 미국 조사 기업 IDC에서 2024년 애플 무선 이어폰 출하 대수가 전년 대비 약 30% 줄었고, 태블릿 단말기 점유율도 떨어졌다고 분석하자 하락
CPI 안정으로 위험 자산 선호 심리가 개선되며 낙폭이 컸던 기술주가 상승을 주도, 이어서 커뮤니케이션, 소비 순환재, 에너지, 금융 순으로 강세
경기 방어주, 헬스케어 섹터는 약세로 순환매를 보임
미국 국채 금리는 소비자물가지수(CPI) 데이터가 헤드라인과 근원 수치 모두 예상치를 하회하며 단기물 금리는 하락했으나, PCE 물가에 반영되는 세부 항목은 상승했고, 관세가 반영되지 않은 데이터라는 해석에 장기물 금리는 상승하며 혼조세
10년물 국채 입찰은 수익률이 예상치를 하회하며 견조한 수요를 보임
미국 2월 CPI는 2.8%로 예상치 하회, 이전 대비 감소
미국 2월 근원 CPI는 3.1%로 예상치 하회, 이전 대비 감소
미국 10년물 국채 입찰은 응찰률이 2.59배로 전달 2.48배 대비 높았으나 이전 6개월 평균치 2.60배를 소폭 밑돌았고, 발행 수익률은 발행 전 거래 수익률을 0.5bp 하회하며 견조한 수요
달러 지수는 상승하며 달러 강세
엔화 강세, 원화 약세
공포 탐욕 지수는 상승했으며 극도의 공포(Extreme Fear) 단계 유지
시장 변동성을 나타내는 VIX 지수는 감소하며 변동성 완화